본문 바로가기
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산업기사

수질환경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by 열혈비광이 2024. 8. 24.
반응형

 

 

수질오염은 물이 사람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물에 인, 질소와 같은 비료 성분, 유기물, 중금속 등이 과다하게 포함되거나 수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수질오염은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고 보전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교육과 자격제도가 마련되었습니다.

 

수질환경산업기사는 측정 장비를 활용하여 수질 오염 물질의 발생 정도를 측정하고 분석합니다. 또한, 다양한 연구와 실험 분석을 통해 오염의 원인을 찾아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합니다.
수질 오염 물질을 제거하거나 줄이기 위해, 수질 오염 방지 시설을 설계하고, 시공 감리 업무를 진행합니다. 더불어, 운영 관리와 문제점을 점검하는 작업도 수행합니다.
시설의 장치와 공법을 실험하고, 수질 오염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유해 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합니다.

 

[진로]

- 직무 내용
수질 분석: 수질 샘플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합니다.
환경 모니터링: 수질의 변화와 오염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환경 보호에 기여합니다.
하수 처리 및 관리: 하수 처리 시설의 운영 및 관리 업무를 담당합니다.
환경 컨설팅: 기업이나 정부 기관에 환경 관련 자문을 제공합니다.
- 취업 분야
공공기관: 환경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수질 관리 및 정책 수립 업무를 담당합니다.
민간 기업: 환경 관련 기업, 연구소, 컨설팅 회사 등에서 다양한 환경 프로젝트에 참여합니다.
교육 및 연구: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환경 관련 교육 및 연구를 진행합니다.
정부의 환경 관련 공무원, 환경관리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등 유관기관, 화학, 제약, 도금, 염색, 식품, 건설 등 오·폐수 배출업체, 전문 폐수처리업체 등에서 경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전망]

- 산업 성장
사회적으로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수질 관리 및 환경 관련 산업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수질환경산업기사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환경 투자 비용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수질 개선, 즉 수질 관리와 상하수도 보전에 사용되는 비용은 전체 환경 투자 비용의 절반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예산의 증가는 수질 관리 및 처리 분야에서의 인력 수요를 더욱 늘릴 것입니다.
- 기술 발전
IoT 및 AI 기술의 발전으로 수질 모니터링 및 분석 기술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새로운 직무와 기회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 고용 전망
2024년에는 수질환경산업기사 관련 직종의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환경 관련 법규가 강화되면서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관련학과 전공자
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대졸(졸업예정자)
•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예정)자
실무경력 2년(동일, 유사 분야)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환경공학, 환경과학, 도시환경공학, 환경시스템공학, 환경계획학, 보건환경학, 수질폐기물, 환경공업화학 등 관련학과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 · 전자 중 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필기시험
① 수질오염개론
② 수질오염방지기술
③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④ 수질환경관계법규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과목당 30분)
실기시험
수질오염방지 실무
필답형
(2시간 30분)

합격 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구분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정기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빈자리접수 : 2024.02.09~2024.02.10]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빈자리접수 :
2024.04.21~
2024.04.22
2024.04.27~2024.05.17
2024.06.18
2024년 정기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빈자리접수 : 2024.05.03~2024.05.04]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빈자리접수 :
2024.07.22~
2024.07.23
2024.07.28~2024.08.14
2024.09.10
2024년 정기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빈자리접수 : 2024.06.29~2024.06.30]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2024.11.08
2024.12.11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20800

아래를 클릭하셔서 좀 더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1,433
357
24.9%
559
151
27%
2022
1,623
449
27.7%
679
319
47%
2021
2,070
574
27.7%
889
305
34.3%
2020
1,905
683
35.9%
938
423
45.1%
2019
2,264
637
28.1%
700
346
49.4%
2018
2,312
660
28.5%
725
459
63.3%
2017
2,516
661
26.3%
845
520
61.5%
2016
2,525
821
32.5%
965
526
54.5%
2015
2,519
849
33.7%
1,037
572
55.2%

 

- 취업 분야

화학, 제약, 도금, 염색, 식품, 건설 등 오·폐수 배출업체, 환경오염 측정업체, 폐수 전문 처리업체, 수질오염 방지시설 업체, 환경 시설 관리업체, 환경영향 평가업체 등이 있습니다.

또한, 환경관련 정부기관, 환경관리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등에서 환경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수질오염 관련 연구나 기술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환경직 공무원으로의 진출도 가능합니다.
- 우대 사항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산점 제도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을 부여합니다.

농업직렬의 농화학 직류, 해양수산직렬의 일반해양, 일반수산, 수산증식, 어로 직류, 보건직렬의 보건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수질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3%의 가산점이 주어집니다.

단, 가산점은 매 과목 40% 이상 득점자에게만 주어지며, 필기시험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합니다.
- 자격 부여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은 환경기술인을 반드시 임명해야 하며, 수질환경산업기사 자격을 가진 이는 환경기술인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해 감리원 자격이 주어지며, 토양환경보전법, 지하수법, 폐기물관리법 등에 의해 다양한 기술인력으로 자격 부여가 가능합니다.

광산피해의 방지 및 복구에 관한 법률에 의해서도 오염수질 개선사업, 광물찌꺼기 유실방지사업, 광해방지사업 감리업체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으로 자격이 부여될 수 있습니다. 

 

- 평균 연봉
2023년을 기준으로, 수질환경산업기사의 평균 연봉은 대략 3,000만 원에서 3,500만 원 사이로 알려져 있습니다.
- 신입 연봉
신입 수질환경산업기사의 경우, 연봉은 보통 2,500만 원에서 3,000만 원 사이에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기업의 규모나 지역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경력 연봉
경력이 늘어남에 따라 연봉도 상승하며, 5년 이상 경력자는 4,000만 원에서 5,000만 원 이상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 근무 지역
대도시에서의 근무는 생활비 상승으로 인해 연봉이 더 높게 설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기업 규모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더 높은 연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전문성 및 자격증
추가 자격증이나 전문성을 갖춘 경우, 연봉 협상에서 더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습니다.

 

수질환경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수질환경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수질관리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 · 면허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기술사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