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MT(Surface Mounted Technology)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구멍에 부품을 삽입하지 않고, PCB표면에 부품을 장착하여 솔더링(납땜)하는 기술로 IT분야의 성장에 따른 SMT 기술인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따른 기술인력 부족으로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관련 산업계의 요청에 따라 동 자격을 신설하게 됨

전자부품을 PCB 표면에 실장하는 In-Line 전체 장비 중 SMT 장비의 생산활동 및 SMT생산장비의 유지보수 관리업무를 수행하며 또한 생산에 필요한 품질관리, 생산관리, 생산에 필요한 자재관리 기초업무 수행
SMT 생산장비 운용 시 발생하는 각종 불량발생 해당 불량 원인분석 및 적절한 품질해결을 도출하여 해당 불량의 품질문제 해결을 수행하며 기초적인 SMT In-Line 전, 후 공정의 기본적인 기술 및 운용기본지식을 보유하여 SMT 생산 업무 수행

SMT 관련 제조업체나 산학협동 기업체의 생산라인 설계나 관리담당, SMT 장비제조 산업체 설계 및 생산관련 분야, SMT 제조업의 라인 작업자, 자동화 장비나 SMT In-Line 장비 판매 및 컨설턴트, 계측기기.자동화 산업.전자부품산업, 통신시스템산업, PC나 가전산업의 설계 및 기술담당자로 활동할 수 있다.
전자제품 제조업체, 통신장비 제조업체, 컴퓨터 및 사무기기 제조업체, 전자부품 생산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전자산업은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고, 경쟁이 치열한 분야이다.
전자부품의 장착이 자동화, 고속화, 고정밀화됨에 따라 전자부품 장착 기능사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
필기시험
|
① SMT 개론
② 전자기초 ③ 공압기초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시험
|
SMD 장비 프로그램 작성 및
SMT 실무작업 |
작업형(2시간 30분 정도)
|
합격 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3
|
884
|
311
|
35.2%
|
524
|
478
|
91.2%
|
2022
|
894
|
396
|
44.3%
|
500
|
463
|
92.6%
|
2021
|
1,131
|
455
|
40.2%
|
572
|
551
|
96.3%
|
2020
|
590
|
239
|
40.5%
|
355
|
330
|
93%
|
2019
|
899
|
401
|
44.6%
|
556
|
520
|
93.5%
|
2018
|
1,192
|
530
|
44.5%
|
627
|
590
|
94.1%
|
2017
|
804
|
363
|
45.1%
|
540
|
523
|
96.9%
|
2016
|
643
|
205
|
31.9%
|
418
|
405
|
96.9%
|
2015
|
669
|
439
|
65.6%
|
630
|
606
|
96.2%
|

- 취업
SMT 관련 제조업체, 산학협동 기업체의 생산라인 설계 및 관리담당, SMT 장비제조 산업체 설계 및 생산관련 분야, SMT 제조업의 라인 관리자, 자동화 장비나 SMT In-Line 장비 판매 및 컨설턴트, 계측기기, 자동화 산업, 전자부품산업, 통신시스템산업, PC나 가전산업의 설계 및 기술담당자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 우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채용계급이 8 · 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 · 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자격증을 취득한 후 취업하게 되면 근무처, 경력, 근무 형태 등에 따라 연봉이 달라질 수 있다.
초급 기능사의 경우 연봉이 약 2,500만 원에서 시작하여 경력이 쌓이고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4,000만 원 이상까지 올라갈 수 있다.
전자산업은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고 경쟁이 치열한 분야로 전자부품의 장착이 자동화, 고속화, 고정밀화됨에 따라 전자부품 장착 기능사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부품장착기능사 : 전자부품장착기능사 시험은 SMT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전자부품장착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시험일정 등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국가자격증 #국가기술자격 #국가기술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 #기능사 #기능사자격증 #기능장 #기능장자격증 #기사 #기사자격증 #기술사 #기술사자격증 #국가자격증종류 #국가자격증조회 #국가자격증추천 #국가자격증시험 #국가자격증일정 #전자부품장착기능사자격증 #전자부품장착기능사취업 #전자부품장착기능사전망 #전자부품장착기능사연봉
'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 > 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캐드기능사 응시자격, 합격률, 취업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27 |
---|---|
전자출판기능사 응시자격, 합격률, 취업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1) | 2024.07.27 |
전자기능사 응시자격, 합격률, 취업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27 |
전자계산기기능사 응시자격, 합격률, 취업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27 |
전산응용조선제도기능사 응시자격, 합격률, 취업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