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금형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금형은 규격이 동일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금속 재료로 만든 '틀'이나 '형태'입니다.
금형은 주로 사출금형과 프레스금형으로 분류됩니다.
사출금형은 연성과 유동성을 가진 재료를 녹여서 형태에 부어 굳힌 후 제품을 만드는 금형을 말합니다.
이러한 금형은 다양한 제품 제작에 필수적이므로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전통적인 기계 분야로서 산업 발전의 기반이 됩니다.
이에 따라, 사출금형을 사용하여 다양한 고품질의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설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전문 기술력을 갖추기 위해 자격 제도를 마련하였습니다.

금형을 제작하기 위해 단일 공정이나 여러 단계의 공정에 적합한 형태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형의 제작 순서와 수량을 정합니다.
또한 성형 작업 방법과 기계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필요한 금형의 형태를 결정하고, 금형 제작에 필요한 크기와 치수가 표시된 금형 세트를 설계합니다.
이후 가공, 제작, 검사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진로]
- 직무 내용
사출 제품의 경제성을 고려해 금형 구조를 결정하고, CAD 소프트웨어로 금형 도면을 설계합니다.
설계된 도면을 바탕으로 실제 금형을 제작합니다.
이 과정에는 CNC 밀링, 절삭 공구 등을 사용해 정밀 작업이 요구됩니다.
생산된 사출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고,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수정 작업을 진행합니다.
사용 중인 금형의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 시 수리 및 보수 작업을 합니다.
금형의 수명을 늘리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기적인 점검을 실시합니다.
사출 성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 문제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고, 후배 기술자나 신규 직원의 교육도 담당합니다.
- 취업 분야
금형 제작업체, 자동화 기계 및 설비업체, 자동차, 전기 및 전자기기 생산업체, 다양한 기구 설계 등 기계 및 금속 제품 생산업체의 설계부서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사출 성형업체나 연구개발 부서에서 근무할 수 있으며, 경력이 쌓이면 관리직으로의 승진 기회도 많아집니다.
[전망]
- 산업 성장
사출금형산업기사는 자동차, 전자기기,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입니다.
특히 전자기기와 자동차 산업의 성장에 따라 사출금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직업 전망
금형은 전기, 전자제품,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기 등 수송기계와 반도체, 통신기기, 산업기계, 정밀기계, 광학기기, 농업, 건축 용기기, 완구 등을 제조하는 데 필수적이며, 그 용도는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합니다.
국내 기술수준이 선진국과 동등한 사출금형은 정밀도가 높으며, 의학 분야의 의치 및 인공 뼈 제작에도 사용되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금형업체 중 상당수가 사출금형을 다루고 있으며, 인력 부족으로 인해 취업 전망이 밝습니다.
- 기술 발전
3D 프린팅과 같은 최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사출금형 기술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기술을 습득한 인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전공자
|
순수 경력자
|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 대졸(졸업예정자)
•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예정)자 |
실무경력 2년(동일, 유사 분야)
|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금속공학, 금속재료공학, 금형 등 또는 생산기술연구원 부설 기술교육센터의 금형과 2년 과정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재료, 화학, 전기 · 전자, 정보통신 중 방송무선, 통신, 안전관리, 환경 · 에너지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
|
변경 전(`22.12.31까지)
|
변경 후(`23.1.1부터)
|
||
필기시험
|
① 금형설계
②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③ 금형재료 및 정밀계측 |
① 사출금형설계
② 사출금형제작 ③ 사출금형측정 및 재료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1시간 30분) |
실기시험
|
사출금형설계 · 가공
|
사출금형 실무
|
작업형(5시간 정도)
|
합격 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구분
|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2024년 정기 기사 2회
|
2024.04.16 ~ 2024.04.19
[빈자리접수 : 2024.05.03~2024.05.04] |
2024.05.09
~ 2024.05.28 |
2024.06.05
|
2024.06.25
~ 2024.06.28 빈자리접수 : 2024.07.22~ 2024.07.23 |
2024.07.28~2024.08.14
|
2024.09.10
|
2024년 정기 기사 3회
|
2024.06.18 ~ 2024.06.21
[빈자리접수 : 2024.06.29~2024.06.30] |
2024.07.05
~ 2024.07.27 |
2024.08.07
|
2024.09.10
~ 2024.09.13 |
2024.10.19~2024.11.08
|
2024.12.11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38300원

아래를 클릭하셔서 좀 더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3
|
216
|
84
|
38.9%
|
47
|
29
|
61.7%
|
2022
|
328
|
128
|
39%
|
108
|
68
|
63%
|
2021
|
337
|
123
|
36.5%
|
117
|
66
|
56.4%
|
2020
|
364
|
152
|
41.8%
|
159
|
90
|
56.6%
|
2019
|
549
|
170
|
31%
|
187
|
109
|
58.3%
|
2018
|
528
|
243
|
46%
|
253
|
145
|
57.3%
|
2017
|
590
|
234
|
39.7%
|
258
|
169
|
65.5%
|
2016
|
676
|
185
|
27.4%
|
223
|
135
|
60.5%
|
2015
|
584
|
290
|
49.7%
|
324
|
207
|
63.9%
|

- 취업 가능 분야
금형제작업체, 자동화기계 및 설비업체, 자동차, 전기 및 전자기기 생산업체, 다양한 기구설계 등에서 기계 및 금속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설계부서에 취업이 가능합니다.
- 우대 사항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의 채용,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산점 제도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이 주어집니다.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운전 직류의 채용 계급이 8급 또는 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인 경우 5%의 가산점이, 6급 또는 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인 경우 3%의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단, 가산점 특전은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을 가진, 각 과목에서 40% 이상 득점한 응시자에게만 적용됩니다.


- 초봉
신입 사출금형산업기사의 초봉은 대체로 3,000만 원에서 3,500만 원 사이입니다.
- 경력에 따른 연봉
경력이 5년을 넘으면 연봉은 대략 4,000만 원에서 5,000만 원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0년 이상 경력자는 중소기업에서 5,500만 원에서 6,000만 원 이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차이
대기업에서는 연봉이 더 높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고, 복리후생이 잘 갖춰져 있는 편입니다.
반면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낮은 연봉을 제공하지만, 업무의 다양성과 승진 기회가 더 많을 수 있습니다.
- 경력
일반적으로 경력이 많을수록 연봉이 높아집니다.
특히, 전문 기술과 경험이 많을수록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지역
대도시에서는 생활비가 높아 연봉도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형기능사 : 금형기능사 시험은 금형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사출금형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사출금형설계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금형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 자격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