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산업기사

산림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열혈비광이 2024. 8. 21. 16:27
반응형

 

 

나무를 심는 것과 더불어 산림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보호는 중요합니다.

임도 개설, 사방, 수문, 벌출, 기계화, 측량 등 산림 공학적 분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임업경영을 통해 산림의 공익적 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산림의 공학적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갖춘 전문가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자격제도가 마련되었습니다.

 

산림과 관련된 기술 이론 지식을 바탕으로 영림 계획 편성, 경영 분석, 산림 휴양 시설의 설계 및 관리 등의 기술 업무를 수행하며, 사방 설계 및 시공, 임도 설계, 시공, 임업 기계의 비용과 기술 등 산림 실무의 다양한 직무를 담당합니다.

 

[진로]

- 직무 내용
산림 자원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고 보호하며, 산림 생태계의 건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목재 및 비목재 자원을 개발하고 활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작업을 담당합니다.
산림 관련 교육과 연구 활동에 참여해 산림의 중요성과 보존 방법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킵니다.
- 취업 분야
지방 산림 관서의 공무원이나 임업 회사에 취업할 기회가 있습니다.
산림법에 따른 임업지도원 자격을 취득하면 산림조합중앙회나 산림조합에서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일할 수 있습니다.

 

[전망]

- 지속 가능한 개발의 중요성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지속 가능한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이로 인해 산림산업기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산림 자원의 가치 상승
목재와 기타 산림 자원의 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관련 산업이 성장하고 산림산업기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기술 발전
드론과 GIS(지리정보시스템) 같은 최신 기술이 산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직무와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관련학과 전공자
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대졸(졸업예정자)
•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예정)자
실무경력 2년(동일, 유사 분야)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산림학과, 산림과학과, 임(산)학과, 임산공학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안전관리, 환경 · 에너지 중 환경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필기시험
① 조림학
② 산림보호학
③ 임업경영학
④ 산림공학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과목당 30분)
실기시험
산림경영 계획편성 및 산림토목 실무
복합형 [필답형(1시간) + 작업형(3시간)

합격 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구분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정기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빈자리접수 : 2024.02.09~2024.02.10]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빈자리접수 :
2024.04.21~
2024.04.22
2024.04.27~2024.05.17
2024.06.18
2024년 정기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빈자리접수 : 2024.05.03~2024.05.04]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빈자리접수 :
2024.07.22~
2024.07.23
2024.07.28~2024.08.14
2024.09.10
2024년 정기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빈자리접수 : 2024.06.29~2024.06.30]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2024.11.08
2024.12.11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36400

아래를 클릭하셔서 좀 더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1,619
626
38.7%
800
489
61.1%
2022
1,782
636
35.7%
922
461
50%
2021
1,856
745
40.1%
869
570
65.6%
2020
1,533
644
42%
867
415
47.9%
2019
1,519
492
32.4%
716
331
46.2%
2018
1,529
537
35.1%
733
364
49.7%
2017
1,726
639
37%
919
403
43.9%
2016
2,084
452
21.7%
748
227
30.3%
2015
2,077
429
20.7%
780
233
29.9%

 

- 취업 기회
임업회사, 휴양시설, 지방 산림 관서에서 공무원으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산림법에 의거하여 임업지도원 자격을 취득하면 산림조합중앙회나 산림조합에서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일할 수 있습니다.
- 우대 사항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이나 일반기업의 채용, 보수, 승진, 전보, 신분 보장 등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산점 제도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이 주어집니다.
농업직렬의 농화학, 식물검역 직류 또는 임업직렬, 환경직렬의 모든 직류에서 8급, 9급, 기능직 8급 이하의 경우 5%, 6급, 7급, 기능직 7급 이상의 경우 3%의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단, 가산점은 필기시험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을 가진, 각 과목에서 40% 이상 득점한 응시자에게만 적용됩니다.
- 자격 부여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림산업기사 자격을 가진 사람은 산림경영기술자 기술초급 자격이 주어지며, 산림산업기사 또는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자격을 가진 사람이 산림기능사 교육훈련기관에서 2주 이상의 산림공학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산림공학기술자 기술초급 자격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초임 연봉
초임 연봉은 대체로 약 25,000,000원부터 시작합니다.
- 경력에 따른 연봉
경력이 쌓이면 연봉이 35,000,000원에서 45,000,000원 사이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상위 연봉
특정 고급 직책이나 전문 분야에서는 연봉이 50,000,000원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능력과 경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근무지
대도시와 지방에서의 연봉 차이가 존재하며, 대도시에서 근무 시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근무 환경
근무하는 기관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어 공공기관, 민간기업, 연구소 등에서 연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산림기능사 : 산림기능사 시험은 산림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 기사 · 기술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면 기술사자격에 응시할 수 있다.

 

산림산업기사 : 산림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림기사 : 산림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산림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산림기술사 : 산림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