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건물의 고층화와 고급화가 진행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같은 승강기 설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승강기의 설계, 제조,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기계, 건축, 전자, 전기 분야의 지식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에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승강기 분야의 숙련된 기능 인력을 양성하고 승강기 사용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자격을 마련하였습니다.

기계 및 전기 분야의 지식과 숙련된 기능을 기반으로 안전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현대 승강기를 설계하고 제작하며, 또한 승강기의 설치, 검사,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진로]
- 직무 내용
승강기 시스템 설치, 정기 점검 및 수리를 담당합니다.
승강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법규를 준수하며 안전 점검을 실시합니다.
승강기 관련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 고객에게 기술 지원을 제공합니다.
- 취업 분야
승강기나 승강기 부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업체, 승강기 보수·유지·점검 업체, 승강기 검사 대행기관 등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른 감리전문 회사의 감리원,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지정검사기관의 검사자, 승강기 제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승강기 보수업, 승강기 검사 대행기관의 기술 인력으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승강기 설치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승강기 안전 관리 및 점검을 담당하는 공공기관에서 근무 기회가 있습니다.
독립적으로 승강기 설치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영업자로 활동할 수도 있습니다.
[전망]
- 산업 성장
도시화와 고층 건물 증가로 인해 승강기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빌딩과 같은 최신 기술의 도입으로 승강기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건축물의 고층화,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수요 증가, 기계식 주차장치의 필요성 증가 등으로 인해 승강기공업분야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승강기 설치대수는 1994년 15,733대에서 시작하여 1999년 3월에는 약 160,000대가 전국에 설치되어 운행 중입니다.
고층빌딩, 호텔, 공항, 백화점, 아파트, 특수건물에 설치된 승강기의 안전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건설경기의 회복세에 따라 더 많은 건축물이 신축될 것으로 예상되어 승강기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할 것으로 보입니다.
승강기 수요 증가에 따라, 승강기 이용자의 안전, 건물의 효율적 공간 활용, 에너지 절감, 무인자동화를 위한 숙련 기능 인력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기술 발전
AI와 IoT 기술이 승강기 시스템에 적용되면서 승강기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변화는 승강기산업기사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안전 규제 강화
승강기 안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승강기산업기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승강기 안전 점검 및 유지보수의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전공자
|
순수 경력자
|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 대졸(졸업예정자)
•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예정)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기계과, 기계설계과, 전기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재료, 화학, 전기 · 전자, 정보통신 중 방송무선, 통신, 안전관리, 환경 · 에너지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
필기시험
|
① 승강기개론
② 승강기설계 ③ 일반기계공학 ④ 전기제어공학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승강기 실무
|
작업형(2시간)
|
합격 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구분
|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2024년 정기 기사 1회
|
2024.01.23 ~ 2024.01.26
[빈자리접수 : 2024.02.09~2024.02.10] |
2024.02.15
~ 2024.03.07 |
2024.03.13
|
2024.03.26
~ 2024.03.29 빈자리접수 : 2024.04.21~ 2024.04.22 |
2024.04.27~2024.05.17
|
2024.06.18
|
2024년 정기 기사 2회
|
2024.04.16 ~ 2024.04.19
[빈자리접수 : 2024.05.03~2024.05.04] |
2024.05.09
~ 2024.05.28 |
2024.06.05
|
2024.06.25
~ 2024.06.28 빈자리접수 : 2024.07.22~ 2024.07.23 |
2024.07.28~2024.08.14
|
2024.09.10
|
2024년 정기 기사 3회
|
2024.06.18 ~ 2024.06.21
[빈자리접수 : 2024.06.29~2024.06.30] |
2024.07.05
~ 2024.07.27 |
2024.08.07
|
2024.09.10
~ 2024.09.13 |
2024.10.19~2024.11.08
|
2024.12.11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20800원

아래를 클릭하셔서 좀 더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3
|
557
|
81
|
14.5%
|
149
|
53
|
35.6%
|
2022
|
782
|
158
|
20.2%
|
256
|
87
|
34%
|
2021
|
951
|
215
|
22.6%
|
259
|
127
|
49%
|
2020
|
776
|
143
|
18.4%
|
206
|
89
|
43.2%
|
2019
|
1,141
|
312
|
27.3%
|
259
|
169
|
65.3%
|
2018
|
688
|
92
|
13.4%
|
113
|
84
|
74.3%
|
2017
|
1,167
|
234
|
20.1%
|
251
|
165
|
65.7%
|
2016
|
617
|
115
|
18.6%
|
151
|
94
|
62.3%
|
2015
|
608
|
125
|
20.6%
|
141
|
91
|
64.5%
|

- 취업 분야
승강기나 승강기 부품을 제조하는 업체, 설치 및 수입 업체, 승강기 점검과 유지보수 업체, 그리고 승강기 검사를 대행하는 기관 등이 있습니다.
또한, 건물의 승강기 관리직, 승강기 판매업체, 일반 건물의 전기실 등에서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및 정비 기술인력으로 일할 수 있습니다.
특히, 승강기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이나 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에서 승강기의 안전과 품질을 검사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우대 사항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이나 일반기업의 채용,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산점 제도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이 주어집니다.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전기 직류 등에서 채용 계급이 8급 또는 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일 경우 5%, 6급 또는 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 3%의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단, 가산점은 각 과목에서 40% 이상 득점한 사람에게만 주어지며, 필기시험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정됩니다.
- 자격 부여
승강기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 자격이 주어집니다.
또한,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승강기설치 공사업), 승강기 제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승강기 보수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대행기관, 유해·위험작업에 관한 교육기관 등의 지정신청을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때 승강기산업기사 자격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초봉
승강기산업기사의 초봉은 일반적으로 3,000만 원 초반부터 시작합니다.
이는 신입 사원을 기준으로 하며, 경력에 따라 급여에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경력에 따른 연봉
하위 25%: 약 3,300만 원입니다.
중위값: 약 3,700만 원입니다.
상위 25%: 약 4,200만 원입니다.
- 경력
경력이 쌓일수록 연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험이 많아질수록 더 복잡한 작업을 담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지역
대도시와 지방 간에 연봉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대도시는 생활비가 더 높아 연봉이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고용 형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에 연봉 차이가 있으며, 정규직이 더 높은 연봉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승강기기능사 : 승강기기능사 시험은 승강기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기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승강기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승강기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