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디자인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시각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면서, 인쇄 및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고, 종합적인 조형 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디자인에 필요한 이론과 자료를 분석하고, 디자인 도구 및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하여 포스터, 팸플릿, 잡지, 포장지, 포장박스 등 일상에서 흔히 마주치는 매체에 대한 시각 이미지를 디자인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진로]
- 직무 내용
편집 디자인: 책, 잡지, 브로셔의 레이아웃 및 디자인을 담당합니다.
광고 디자인: 광고 캠페인을 위한 시각적 요소를 제작합니다.
포장 디자인: 제품 포장을 통해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합니다.
영상 디자인: 영상 콘텐츠에 대한 시각적 요소를 설계하고 제작합니다.
- 취업 분야
그래픽 디자이너: 광고, 포스터, 브로셔 등의 시각적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UI/UX 디자이너: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을 설계합니다.
편집 디자이너: 출판물의 레이아웃 및 디자인을 담당합니다.
브랜딩 전문가: 기업의 브랜드 정체성을 개발하고 관리합니다.
- 필요한 기술
디자인 소프트웨어(예: Adobe Creative Suite) 사용 능력.
색채 이론 및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깊은 이해.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능력.
[전망]
- 산업 성장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시각 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 마케팅과 소셜 미디어의 확산으로 그래픽 디자인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고용 전망
2024년까지 시각 디자인 관련 직종의 고용은 긍정적으로 전망되며, 특히 UI/UX 디자인 분야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디자인 분야는 창의성과 기술이 결합된 직업군으로서,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 덕분에 고용 안정성이 높습니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전공자
|
순수 경력자
|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 대졸(졸업예정자)
•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예정)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시각디자인, 시각미디어, 시각전달디자인, 시각정보디자인, 영상디자인, 시각영상디자인 등 관련학과
※ 동일직무분야 : 건설 중 건축, 섬유 · 의복, 인쇄 · 목재 · 가구 · 공예 중 목재 · 가구 · 공예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
|
변경 전(`22.12.31까지)
|
변경 후(`23.1.1부터)
|
||
필기시험
|
① 색채학
② 인쇄 및 사진기법 ③ 시각디자인론 ④ 시각디자인 실무이론 |
① 시각디자인 조사 · 분석
② 시각디자인 기획 구상 ③ 시각디자인 제작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시각디자인 실무
|
시각디자인 제작 실무
|
작업형(6시간 정도)
|
합격 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구분
|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2024년 정기 기사 1회
|
2024.01.23 ~ 2024.01.26
[빈자리접수 : 2024.02.09~2024.02.10] |
2024.02.15
~ 2024.03.07 |
2024.03.13
|
2024.03.26
~ 2024.03.29 빈자리접수 : 2024.04.21~ 2024.04.22 |
2024.04.27~2024.05.17
|
2024.06.18
|
2024년 정기 기사 2회
|
2024.04.16 ~ 2024.04.19
[빈자리접수 : 2024.05.03~2024.05.04] |
2024.05.09
~ 2024.05.28 |
2024.06.05
|
2024.06.25
~ 2024.06.28 빈자리접수 : 2024.07.22~ 2024.07.23 |
2024.07.28~2024.08.14
|
2024.09.10
|
2024년 정기 기사 3회
|
2024.06.18 ~ 2024.06.21
[빈자리접수 : 2024.06.29~2024.06.30] |
2024.07.05
~ 2024.07.27 |
2024.08.07
|
2024.09.10
~ 2024.09.13 |
2024.10.19~2024.11.08
|
2024.12.11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30400원

아래를 클릭하셔서 좀 더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3
|
583
|
437
|
75%
|
450
|
242
|
53.8%
|
2022
|
703
|
465
|
66.1%
|
540
|
311
|
57.6%
|
2021
|
925
|
649
|
70.2%
|
630
|
294
|
46.7%
|
2020
|
666
|
499
|
74.9%
|
594
|
324
|
54.5%
|
2019
|
837
|
556
|
66.4%
|
601
|
287
|
47.8%
|
2018
|
908
|
561
|
61.8%
|
635
|
336
|
52.9%
|
2017
|
995
|
724
|
72.8%
|
648
|
384
|
59.3%
|
2016
|
921
|
572
|
62.1%
|
613
|
433
|
70.6%
|
2015
|
982
|
638
|
65%
|
814
|
353
|
43.4%
|

- 취업 분야
시각 디자인 분야는 그 범위가 넓어 진로 선택의 폭도 넓습니다.
신문사나 잡지사의 편집 디자이너, 광고 대행사, 기업의 광고 디자이너 및 패키지 디자이너, 방송국의 영상 디자이너, 인테리어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방송국이나 극장의 무대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자이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이 가능합니다.
신문사, 잡지사, 방송국의 편집 및 영상 관련 부서, 그리고 기업의 홍보 부서 등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주로 광고 디자인, 포장(패키지) 디자인, 편집 디자인, 표지 디자인, 서체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등 전문 디자인 업체에 취업합니다.
- 우대 사항
국가 기술 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 보장 등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산점 제도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이 주어집니다.
시설직렬 디자인 직류에서 채용 계급이 8급, 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일 경우 5%, 6급, 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 3%의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단, 가산점 특전은 각 과목에서 40% 이상 득점한 사람에게만 적용되며,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합니다.


- 초봉
대학 졸업자의 초임 기준으로, 시각 디자이너의 초봉은 대략 2,500만원에서 3,000만원 사이입니다.
- 경력에 따른 연봉
경력이 쌓이면 연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5년 이상 경력을 가진 시각 디자이너는 평균적으로 3,500만원의 연봉을 받습니다.
경력이 많은 디자이너 중 일부는 연봉이 4,000만원을 넘을 수 있으며, 이는 회사의 규모나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지역별 연봉
대도시에서 일할 경우, 연봉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높은 생활비로 인해 연봉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책정됩니다.
- 회사 규모에 따른 연봉
대기업에서 근무하면 중소기업보다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전문성에 따른 연봉
특정 분야(예: UX/UI 디자인, 광고 디자인 등)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더 높은 연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시각디자인산업기사 :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시각디자인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