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1. 식품 산업기사란?
2. 수행 업무
3. 진로 및 전망
4. 응시 자격
5. 시험 일정
6. 합격률
7. 활용 정보
8. 평균 연봉
9. 자격증 관계도
1. 식품 산업기사란?
식품은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 불가결한 것으로, 사회발전과 생활의 풍요로와짐에 따라 식품에 대한 욕구도 양적인 측면에서 맛과 영양, 안전성 등을 고려하는 질적인 측면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에게 최상의 식품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식품가공분야에서 기능업무를 담당할 숙련기능인력의 양성이 요구됨에 따라 제정하였다.
2. 수행 업무
식품산업기사는 식품재료를 선택하고, 선별, 분류하며, 만들고자 하는 식품의 제조공정에 따라 기계적, 물리화학적 처리를 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작업공정에 따라 처리정도 및 숙성정도를 관찰하고 적정한 상태로 만들어 나가기 위한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작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공정을 조정하고 안전상태를 점검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3. 진로 및 전망
[진로]
- 직무 내용
식품 생산 및 가공 과정에서 기술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식품 재료 선택, 분류, 작업 공정 및 안전 상태 점검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식품 제조 및 가공 업무를 수행한다.
식품 재료와 제품에 대한 연구 및 개발 업무를 담당할 수 있다.
- 취업 분야
주로 식품제조·가공업체, 즉석판매제조·가공업, 식품첨가물제조업체, 식품연구소 등 으로 진출하며, 이외에도 학계나 정부기관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식품위생법에 의해 식품위생 감시원으로 고용될 수 있다.
[전망]
음식에 대한 소비욕구의 다양화와 추세로 인해 맛과 영양, 위생안전 등을 고려한 다 양한 식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기업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식품 재료와 제품에 관한 연구 개발, 효율적인 운영이 요구될 뿐 아니라 식품제조공정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서도 전문기술인력이 요구되고 있다.
반면 비용절감 차원에서 식품가공공정이 자동화·현대화가 일어지고 있어 기능인력에 대한 수요는 그리 크지 않을 전망이다.
또한 취업하는데 자격취득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자격을 취득하는 경우 취업시 다소 유리할 전망이다.
4. 응시 자격
식품산업기사 자격증은 식품 분야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재를 인증하는 국가 자격증이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특정한 응시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예를 들어, 관련 분야의 4년제 대학교 졸업자, 관련 분야의 전문대학 졸업 후 일정 기간의 실무 경험을 가진 자, 또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일정 학점을 취득한 자 등이 응시할 수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전공자
|
순수 경력자
|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 대졸(졸업예정자)
•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예정)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식품공학, 식품가공학, 식품공업 등 관련학과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음식서비스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
필기시험
|
① 식품위생학
② 식품화학 ③ 식품가공학 ④ 식품미생물학 ⑤ 식품제조공정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식품품질관리 실무
|
작업형(6시간 정도)
|
합격 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5. 시험 일정
식품산업기사 자격증은 식품 기술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식품의 생산, 가공, 분석, 검사 등을 담당하는 중요한 자격증이다.
이 자격증은 식품 산업의 품질 관리와 안전을 책임지는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며, 매년 여러 차례 시험이 진행된다.
2024년도에는 식품산업기사 자격시험 일정이 세 차례 예정되어 있으며, 각 회차별로 필기와 실기 시험이 구분되어 진행된다.
필기 시험은 주로 컴퓨터 기반 테스트(CBT)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실기 시험은 식품의 품질 검사 실험의 정확도 및 숙련도를 평가하는 작업형 시험이다.
자격증 취득을 희망하는 수험생들은 시험 일정을 미리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응시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지,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지, 시험 과목과 형식 등에 대해 사전에 잘 알아보고 준비해야 한다.
자세한 정보는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분
|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2024년 정기 기사 1회
|
2024.01.23 ~ 2024.01.26
[빈자리접수 : 2024.02.09~2024.02.10] |
2024.02.15
~ 2024.03.07 |
2024.03.13
|
2024.03.26
~ 2024.03.29 빈자리접수 : 2024.04.21~ 2024.04.22 |
2024.04.27~2024.05.17
|
2024.05.29
|
2024년 정기 기사 2회
|
2024.04.16 ~ 2024.04.19
[빈자리접수 : 2024.05.03~2024.05.04] |
2024.05.09
~ 2024.05.28 |
2024.06.05
|
2024.06.25
~ 2024.06.28 빈자리접수 : 2024.07.22~ 2024.07.23 |
2024.07.28~2024.08.14
|
2024.08.28
|
2024년 정기 기사 3회
|
2024.06.18 ~ 2024.06.21
[빈자리접수 : 2024.06.29~2024.06.30] |
2024.07.05
~ 2024.07.27 |
2024.08.07
|
2024.09.10
~ 2024.09.13 |
2024.10.19~2024.11.08
|
2024.11.20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55400원
6. 합격률
최근 통계에 따르면, 식품산업기사 필기 시험의 합격률은 40%대로 나타나고 있으며, 실기 시험의 경우에는 80%대의 높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필기 시험이 다소 어렵게 출제되는 반면, 실기 시험은 상대적으로 합격하기 쉬운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필기 시험은 총 5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제은행 형식으로 출제되기 때문에 기출문제를 충분히 암기하면 독학으로도 합격이 가능하다는 의견이 많다.
반면, 실기 시험은 실무능력을 중점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실제 작업 경험이나 실습을 통한 준비가 중요하다.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3
|
2,190
|
793
|
36.2%
|
800
|
644
|
80.5%
|
2022
|
2,309
|
954
|
41.3%
|
976
|
803
|
82.3%
|
2021
|
2,444
|
1,137
|
46.5%
|
1,029
|
849
|
82.5%
|
2020
|
1,773
|
919
|
51.8%
|
829
|
718
|
86.6%
|
2019
|
1,997
|
626
|
31.3%
|
673
|
513
|
76.2%
|
2018
|
1,794
|
777
|
43.3%
|
761
|
595
|
78.2%
|
2017
|
1,805
|
585
|
32.4%
|
632
|
458
|
72.5%
|
2016
|
2,024
|
595
|
29.4%
|
629
|
472
|
75%
|
2015
|
1,965
|
729
|
37.1%
|
714
|
522
|
73.1%
|
7. 활용 정보
- 취업
주로 식품제조, 가공업체, 식품유통업체, 즉석판매제조, 가공업, 식품첨가물제조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학계, 식품연구소 이외에도 식품의약품안전청과 같은 정부기관, 기업체의 식품관련연구소, 식품위생검사기관, 품질검사기관 등으로 진출하기도 한다.
- 우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공업직렬의 화공 직류, 농업직렬의 일반농업, 농화학, 축산, 생명유전 직류, 해양수산직렬의 일반수산, 수산제조, 수산물검사 직류, 보건직렬의 보건 직류, 식품위생직렬의 식품위생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 · 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 · 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8. 평균 연봉
- 평균 연봉
식품산업기사의 평균 연봉은 약 3,000만 원 수준이다.
경력, 근무 지역, 기업 규모 등에 따라 연봉 차이가 있다.
- 경력별 연봉
신입 식품산업기사: 2,500만 원 ~ 3,000만 원 수준이다.
경력 3년 이상: 3,000만 원 ~ 3,500만 원 수준이다.
경력 5년 이상: 3,500만 원 ~ 4,000만 원 수준이다.
- 기업 규모별 연봉
대기업: 3,500만 원 ~ 4,500만 원 수준이다.
중소기업: 2,500만 원 ~ 3,500만 원 수준이다.
- 지역별 연봉
서울/수도권: 3,500만 원 ~ 4,500만 원 수준이다.
지방: 2,500만 원 ~ 3,500만 원 수준이다.
- 추가 수당 및 복리후생
식품산업기사는 식품 제조 및 가공 분야에서 근무하므로, 연장근무 수당, 식대 지원, 건강검진 등의 복리후생을 받을 수 있다.
9. 자격증 관계도

식품가공기능사 : 식품가공기능사 시험은 식품의 제조, 가공 등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 기사 · 기술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면 기술사자격에 응시할 수 있다.
식품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식품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식품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식품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 · 면허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기술사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