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산업기사

실내건축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열혈비광이 2024. 10. 6. 15:27
반응형

 

1. 실내건축산업기사란?

2. 수행업무

3. 진로 및 전망

4. 응시 자격

5. 시험 일정

6. 합격률

7. 활용 정보

8. 평균 연봉

9. 자격증 관계도

 

1. 실내건축산업기사란?

실내건축산업기사는 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실내건축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고 자격을 취득한 사람을 지칭합니다.

실내공간은 단순한 기능적 조건을 넘어 인간의 예술적,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며, 이를 계획하는 실내건축 분야는 환경과 건축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계획과 시공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건축의장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실내건축산업기사 자격이 마련되었습니다.

2. 수행업무

실내건축산업기사는 건축 공간을 기능적이고 미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현장 분석 자료와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공간의 기능에 적합하게 면적을 배분하고, 공간을 계획 및 구성합니다. 또한, 이러한 구성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개념도, 평면도, 천정도, 입면도, 상세도, 투시도 및 재료 마감표를 작성하고, 설계가 완료된 도면을 제작하여 현장 시공을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3. 진로 및 전망

- 진로

건축설계사무소, 건설회사, 인테리어 부서, 인테리어 전문업체, 백화점, 방송국, 모델하우스 전문 시공업체, 디스플레이 전문업체 등에서 취업이 가능합니다. 또한, 개인 사업을 시작하거나 프리랜서로 활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내건축공사업 면허를 취득함으로써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전망

실내건축은 창의적인 능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지식 산업으로, 상당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상업공간, 주거공간, 전시공간, 사무공간, 의료공간, 예식공간, 교육공간, 스포츠 및 레저공간, 호텔, 테마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내공간의 전문적이고 특별한 기능이 요구되면서 실내건축기사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고도의 전문 지식과 서비스 정신, 업무에 대한 열정이 필수적입니다.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이 인기를 얻고 있고, 이는 실내건축산업기사에게 설계 및 시공 분야에서 새로운 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4. 응시 자격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기술자격 소지자
관련학과 졸업자
비관련학과 졸업자
순수 경력자
비고
· 동일(유사)분야 산업 기사
· 기능사 + 1년
· 동일종목외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폐지
· 2년(동일, 유사 분야)
※ 비관련학과 관련 응시자격 → 2013.1.1부터 폐지

※ 관련학과 : 실내건축산업기사는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실내디자인, 실내건축디자인, 실내환경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 실내장식, 건축 등 관련학과를 전공하면 자격 취득에 도움이 됩니다.

기능대학이나 직업전문학교의 관련학과, 기술전문학원의 인테리어 디자인 과정을 이수하여 자격시험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 동일직무분야 : 경영ㆍ회계ㆍ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ㆍ예술ㆍ디자인ㆍ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ㆍ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ㆍ에너지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필기시험
① 실내디자인론
② 색채 및 인간공학
③ 건축재료
④ 건축일반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시험
건축실내의 설계 및 시공 실무
복합형(필답형(2시간)+작업형(5시간 정도)

합격 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이 면제됩니다.

5. 시험 일정

구분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정기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빈자리접수 : 2024.02.09~2024.02.10]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빈자리접수 :
2024.04.21~
2024.04.22
2024.04.27~2024.05.17
2024.06.18
2024년 정기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빈자리접수 : 2024.05.03~2024.05.04]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빈자리접수 :
2024.07.22~
2024.07.23
2024.07.28~2024.08.14
2024.09.10
2024년 정기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빈자리접수 : 2024.06.29~2024.06.30]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빈자리접수 :
2024.10.14~
2024.10.14
2024.10.19~2024.11.08
2024.12.11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 27900

6. 합격률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2,069
672
32.5%
590
280
47.5%
2022
2,004
617
30.8%
651
393
60.4%
2021
2,261
1,107
49%
1,013
674
66.5%
2020
2,038
995
48.8%
880
450
51.1%
2019
2,244
1,034
46.1%
947
594
62.7%
2018
2,220
820
36.9%
886
521
58.8%
2017
2,196
950
43.3%
809
463
57.2%
2016
2,079
768
36.9%
793
335
42.2%
2015
1,956
808
41.3%
783
311
39.7%

7. 활용정보

- 창업

본인이 직접 사업을 시작하거나 프리랜서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 취업분야

건축설계사무소, 건설회사, 인테리어 부서, 인테리어 전문업체, 백화점, 방송국 및 공연장 세트 제작회사, 가구 디자인회사, 조명 디자인회사, 리모델링 회사, 모델하우스 전문 시공업체, 디스플레이 전문업체, 기업의 디자인실 등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 우대사항

실내건축 분야에서는 자격증 소지 여부가 회사의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채용 시 실내건축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 보장 등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이 주어집니다. 시설직렬의 건축 및 디자인 직류에서 채용 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일 경우 5%, 6·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 3%의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단, 가산 특전은 각 과목에서 40% 이상 득점한 사람에게만 적용되며,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합니다.

- 자격 부여

실내건축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해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 자격이 주어지며,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른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근로자의 보건 및 안전 지정 교육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8. 평균 연봉

- 초봉

대형 건설회사에서는 약 4,000만 원에서 5,000만 원 정도의 초봉을 받을 수 있으며, 중견 건설회사나 인테리어 업체에서는 2,500만 원에서 4,000만 원 정도의 초봉이 일반적입니다.

- 평균 연봉

실내건축기능사의 평균 연봉은 3,500만 원에서 4,600만 원 수준으로, 자격증, 경력, 기업 규모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지역별 차이

지역에 따라 생활비와 경기 등이 다르기 때문에 연봉 수준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000만 원에서 4,000만 원 정도의 연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9. 자격증 관계도

- 실내건축기능사 : 실내건축기능사 시험은 실내건축의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및 기사 시험 응시에 도움이 됩니다. 기능사 자격을 취득하고 동일 직무 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 경험이 있는 경우 산업기사 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지며, 3년 이상 경험이 있을 경우 기사 시험 응시 자격이 부여됩니다.

- 실내건축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더 높은 수준의 숙련 기능과 기초 이론 지식을 요구하는 자격으로, 기술 분야에서 업무를 수행합니다. 실내건축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고 동일 직무 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 경험이 있는 경우 기사 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집니다.

 

- 실내건축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더 높은 수준의 숙련 기능과 기초 이론 지식을 가진 자격으로, 기술 분야에서 업무를 수행합니다. 실내건축기사의 업무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인력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어, 고도의 전문 지식과 서비스 정신, 그리고 업무에 대한 열정이 필수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