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기능사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응시자격, 합격률, 취업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열혈비광이 2024. 7. 28. 11:15
반응형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금속재료 및 제품검사 방법의 하나로서 대상물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 채택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침투비파괴검사는 주강품, 단조품과 같은 금속재료뿐만 아니라 세라믹, 플라스틱, 유리와 같은 비금속 재료에도 이용할 수 있고, 시험체의 형상이 복잡하여도 검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적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산업설비 및 건축물, 기계장치가 복잡화되어 높은 품질 및 안전성이 요구되고 있고, 부실공사로 인한 각종 대형인재사고의 발생으로 인해 산업계 전반에 안전진단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생산공정에서의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완제품의 보수점검 등을 목적으로 비파괴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보다 완벽하게 품질관리를 실시하려는 업체가 증가함에 따라 재질에 상관없이 적용범위가 넓은 침투비파괴검사에 대한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

 

침투파비파괴검사기능사는 방사선을 이용한 비파괴검사에 대해 주로 현장실무를 담당한다.

검사방법 및 절차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이용하여 실제적인 비파괴검사업무를 수행한다.

 

비파괴전문용역업체, 공인검사기관, 전선생산업체, 자체검사시설을 갖춘 조선소, 정유 회사, 유류저장시설 시공업체, 가스용기제작업체, 보일러제조회사, 항공기 생산업체 의 비파괴검사부서, 혹은 각종업체의 품질관리부서에 진출할 수 있다.

비피괴검사의 대부분이 첨단장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장비 및 사용방법이 단순한 편이지만 검사결과의 신뢰성확보를 위해서 대부분의 업체에서 공인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인력을 채용하기를 희망하고 있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지정검사기관의 검사자로 고용될 수 있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필기시험
① 침투탐상시험법
② 침투탐상관련규격 및 컴퓨터활용
③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일반
전 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시험
침투탐상작업
작업형(30~60분 정도)

합격 기준 : 필기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1,603
651
40.6%
704
507
72%
2022
1,344
546
40.6%
750
561
74.8%
2021
1,488
689
46.3%
750
532
70.9%
2020
1,624
813
50.1%
809
624
77.1%
2019
2,519
1,098
43.6%
1,342
916
68.3%
2018
2,725
1,044
38.3%
1,433
813
56.7%
2017
3,136
1,330
42.4%
1,771
917
51.8%
2016
3,903
1,743
44.7%
2,202
1,309
59.4%
2015
4,226
1,989
47.1%
2,344
1,262
53.8%

 

- 취업

전문 비파괴검사업체, 비파괴검사전문용역업체, 공인검사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자체 검사시설을 갖춘 조선소, 건설, 제조, 가공, 운송, 에너지 및 기타 회사의 안전부서에 진출할 수 있다.

철강업체, 중공업 및 선박제작업체, 건설회사 등에 진출할 수 있다.

정유회사, 유류저장시설 시공업체, 각종 제조회사의 품질보증관련 부서로 진출이 가능하다.

가스용기제작업체, 보일러제조회사, 자동차산업분야, 항공우주산업분야의 비파괴검사부서에 진출할 수 있다.

 

- 우대

침투비파괴 분야에서는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고 있다.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공업직렬의 금속, 야금 직류에서 3% 가산점을 준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 자격부여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자격을 취득하면,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지정검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활동할 수 있다.

 

침투비파괴검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기업체의 품질관리 부서나 비파괴 검사 전문 업체, 공인 검사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으며, 한국직업능력 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비파괴 검사원의 평균 연봉은 3,917만 원으로 비교적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다.

이는 평균적인 수치이며 개인의 역량과 경력에 따라 연봉은 달라질 수 있다.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시험은 침투비파괴검사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기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면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침투비파괴검사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비파괴검사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면허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기술사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시험일정 등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국가자격증 #국가기술자격 #국가기술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 #기능사 #기능사자격증 #기능장 #기능장자격증 #기사 #기사자격증 #기술사 #기술사자격증 #국가자격증종류 #국가자격증조회 #국가자격증추천 #국가자격증시험 #국가자격증일정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자격증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취업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전망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연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