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프종이제조기능사 응시자격, 취업, 전망, 진로, 연봉은?


펄프종이제조기능사 자격은 임산물을 이용하여 생활에 필요한 제품을 가공하고 생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하였다.

펄프종이제조기능사는 목재가공에 관한 기본적인 숙련기능을 가지고 주로 목재식별 및 검량, 목재규격판정, 목재의 제재, 목재건조, 목질 제품제조, 화학가공(개질), 목재방부, 방충처리, 펄프제조, 지료조성, 지필형성, 마감질 및 가공, 제품검사 등 펄프 및 제지 분야의 직무를 수행한다.

펄프, 종이, 판지 등을 생산하는 제지 회사에서 근무할 수 있다.
펄프, 종이 외에도 목재 가공 및 목질제품 제조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다.
펄프, 종이 제품의 품질을 시험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펄프, 종이 제품 개발 및 공정 개선 등의 연구개발 업무를 담당할 수 있다.
향후 5년간 펄프 및 종이 생산직의 일자리 규모는 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종이 사용량 감소로 인한 인력 감축이 예상되지만,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직무이므로 고용이 어느 정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
필기시험
|
종이생산 및 품질관리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시험
|
종이제조 실무
|
작업형(2시간 정도)
|
합격 기준 : 필기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 취업
목질재료 및 목재가공회사, 해외 조림 및 삼림개발회사 등 다양하게 취업할 수 있다.
산림조합,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청, 각 시 · 도 산림관계기관, 정부관련부서 등에 진출이 가능하다.
- 우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농업직렬의 농화학 직류, 임업직렬의 산림자원, 산림이용 직류에서 3% 가산점을 준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펄프·종이제조장치조작원의 평균연봉은 3,522만원으로, 전체 직업 평균연봉보다 높은 편이다.
펄프 및 종이 생산직의 평균연봉은 약 4,272만원 수준이다.
펄프 및 종이 제조 기업인 삼정펄프의 경우, 과장 직급의 평균연봉이 4,400만원, 차장 직급의 평균연봉이 5,986만원으로 36%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산가공기능사 : 임산가공기능사 시험은 임산가공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기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임산가공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임산가공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임산가공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고도의 전문지식 습득 및 서비스정신, 일에 대한 정열은 필수적이다.

시험일정 등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국가자격증 #국가기술자격 #국가기술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 #기능사 #기능사자격증 #기능장 #기능장자격증 #기사 #기사자격증 #기술사 #기술사자격증 #국가자격증종류 #국가자격증조회 #국가자격증추천 #국가자격증시험 #국가자격증일정 #펄프종이제조기능사자격증 #펄프종이제조기능사취업 #펄프종이제조기능사전망 #펄프종이제조기능사연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