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처리기능사 응시자격, 합격률, 취업, 전망, 진로, 연봉은?


도금은 어떠한 제품을 만들 때 최종 공정에 해당하므로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좌우할 뿐만 아니라 성능 및 수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현재는 전기도금과 특수도금을 병행하여 도금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도금액 조성, 관리, 분석, 각종 화학약품과 각종 도금장치 등을 이용한 도금업무를 수행하는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

각종도금에 필요한 설비의 성능, 용도, 사용법을 습득하여 정류기, 연마기, 전처리 설비, 도금조, 여과기, 도금기 등의 장비와 기자재를 이용하여 소지의 표면을 부식방지 또는 장식 하거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업무 수행, 또한 도체 부도체를 도체화 시켜 각종 전기 도금 및 특수도금을 할 수 있으며, 도금액 관리와 분석 및 도금의 원리 등의 이해를 통한 도금처리를 수행한다.

도금, 표면처리 업체, 자동차부품, 전자 및 전기기기부품, 반도체부품, 일반기계부품, 정밀기계부품 업체 등에서 도금작업을 담당할 수 있다.
그동안 도금작업시 사용하는 약품, 가스발생 등으로 도금 업체의 상당수가 열악한 작업환경에 있었으나 품질향상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자동화를 도입하는 업체가 늘어나는 추세여서 근무여건도 점차 나아지고 있다.
자격증 소지자는 산업현장에서 숙련기능인으로 인정 받을 수 있다.
표면처리 분야는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전문 인력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
필기시험
|
① 금속재료일반
② 전기도금 ③ 특수도금 |
전 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
실기시험
|
표면처리
|
작업형(2시간 30분 정도)
|
합격 기준 : 필기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3
|
148
|
43
|
29.1%
|
51
|
51
|
100%
|
2022
|
128
|
31
|
24.2%
|
39
|
39
|
100%
|
2021
|
109
|
29
|
26.6%
|
48
|
45
|
93.8%
|
2020
|
106
|
31
|
29.2%
|
45
|
38
|
84.4%
|
2019
|
159
|
41
|
25.8%
|
129
|
121
|
93.8%
|
2018
|
165
|
44
|
26.7%
|
139
|
130
|
93.5%
|
2017
|
182
|
32
|
17.6%
|
159
|
149
|
93.7%
|
2016
|
196
|
35
|
17.9%
|
197
|
191
|
97%
|
2015
|
172
|
55
|
32%
|
238
|
230
|
96.6%
|

- 창업
도금업체를 직접 운영할 수 있다.
- 취업
도금, 표면처리 업체, 자동차부품, 전자 및 전기기기부품, 반도체부품, 일반기계부품, 정밀기계부품 업체 등 다양한 작업현장에 취업하여 도금작업을 담당할 수 있다.
- 우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공업직렬의 금속, 야금 직류에서 3% 가산점을 준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표면처리기능사의 연봉은 근무처, 경력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범위를 보인다.
초봉은 약 2,500만 원 - 3,500만 원, 경력직은 약 3,500만 원 - 5,000만 원 정도이며 자격증을 취득 후 취업하여 경력을 쌓을수록 연봉이 높아질 수 있으며, 금속 제조, 가공업체,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부품 제조업체, 전기, 전자 제품 제조업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대받을 수 있다.


표면처리기능사 : 표면처리기능사 시험은 전기도금과 특수도금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기능장, 기술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면 기능장 ·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표면처리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표면처리기능장 : 기능장은 최고급 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표면처리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 · 면허증이다. 산업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시험일정 등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국가자격증 #국가기술자격 #국가기술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 #기능사 #기능사자격증 #기능장 #기능장자격증 #기사 #기사자격증 #기술사 #기술사자격증 #국가자격증종류 #국가자격증조회 #국가자격증추천 #국가자격증시험 #국가자격증일정 #표면처리기능사자격증 #표면처리기능사취업 #표면처리기능사전망 #표면처리기능사연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