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분석기능사 응시자격, 합격률, 취업, 전망, 진로, 연봉은?


화학분석기능사는 화학반응, 유기화합물, 원자구조 등 화학물질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지식과 화학적 소양을 갖추고 안전하게 화학물질을 취급할 수 있는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된 자격제도이다.

화학분석기능사는 실험 및 검사부문에 소속되어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의 종류나 그 조성비를 알기 위하여 각종 약품, 기기, 기구 등을 가지고 물질을 분석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화학분석기능사 주요 진출 분야]
석유, 시멘트, 도료, 비누, 화학섬유원사, 고무 등 화학제품을 제조·취급하는 전산업 분야에 진출할 수 있다.
식품위생법에 의하면 식품제조·가공업, 즉석판매제조·가공업 및 식품첨가물제조 업에 해당하는 업체는 식품위생관리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하는데 자격증 취득 후에는 2종 식품위생관리인으로서 종사 가능하다.
또한 대기환경보전법에서도 산업체의 대기오염물질을 채취하여 대기오염공정시험방법에 의하여 측정분석업무를 하는 데 있어 자격을 취득한 측정대행기술자를 고용하도록 되어 있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
그리고 자격취득 후 2년이상의 실무경력이 있으면 오수처리시설 업체등에서 기술관리인으로 종사 가능하는 등 화학분석기능사의 진출분야는 다양하다.
[화학분석기능사 전망]
화학제품 제조 및 관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화학분석기능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공대 자격증 중에서도 화학분석기사는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화학분석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동일 직무 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 경험을 쌓으면 화학분석기사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
필기시험
|
화학분석 및 실험실 안전관리
|
전 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
실기시험
|
화학분석실무
|
복합형 (필답형: 1시간, 작업형: 3시간 정도)
|
합격 기준 : 필기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3
|
3,874
|
1,176
|
30.4%
|
2,520
|
1,762
|
69.9%
|
2022
|
3,369
|
995
|
29.5%
|
2,480
|
1,733
|
69.9%
|
2021
|
3,455
|
1,788
|
51.8%
|
3,118
|
2,194
|
70.4%
|
2020
|
2,323
|
1,243
|
53.5%
|
2,860
|
2,192
|
76.6%
|
2019
|
2,742
|
1,489
|
54.3%
|
3,178
|
2,111
|
66.4%
|
2018
|
2,171
|
1,209
|
55.7%
|
2,849
|
2,346
|
82.3%
|
2017
|
1,295
|
713
|
55.1%
|
2,664
|
2,193
|
82.3%
|
2016
|
1,226
|
685
|
55.9%
|
2,758
|
2,415
|
87.6%
|
2015
|
1,239
|
571
|
46.1%
|
2,769
|
2,480
|
89.6%
|

- 취업
모든 산업의 기초를 이루는 화학분석분야는 폭넓은 영역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활용범위가 넓어 석유, 시멘트, 도료, 비누, 화학섬유원사, 고무 등 화학제품을 제조 · 취급하는 모든 관련업체에 취업이 가능하다.
정부투자기관에도 진출이 가능하다.
- 우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공업직렬의 화공 직류에서 3% 가산점을 준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 자격부여
식품위생법에 의하면 식품제조 · 가공업, 즉석판매제조 · 가공업 및 식품첨가물제조업에 해당하는 업체는 식품위생관리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하는데, 화학분석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2종 식품위생관리인으로서 종사할 수 있다.
대기환경보전법에서도 산업체의 대기오염물질을 채취하여 대기오염공정시험방법에 의하여 측정분석업무를 하는데 있어 자격을 취득한 측정대행기술자를 고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자격증 취득시 취업에 유리하다.
자격증 취득 후 2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으면 오수처리시설업체 등에서 기술관리인의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다.

화학분석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취업할 수 있는 분야와 연봉은 다음과 같다.
- 취업 분야: 석유, 시멘트, 도료, 비누, 화학섬유원사, 고무 등 화학제품을 제조·취급하는 전 산업 분야, 제약 및 화장품 업체, 환경오염 방지 시설업체, 분석기기 장비업체, 식품제조업체, 가스 관련 업체, 각종 산업체의 품질관리 및 연구개발 부서 등
- 연봉: 신입 기준 최소 2,500만 원부터 최대 4,500만 원 이상으로 평균 3,200만 원 - 3,800만 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분석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화학분석 분야에서 취업 기회를 높일 수 있으며, 경력과 역량에 따라 연봉이 상승할 수 있다.
화학분석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취업을 희망하는 경우,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며, 관련 분야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기능사 시험은 화학분석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기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화학분석기사 : 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업무영역의 확대로 화학분석기사의 인력수요는 증가할 전망이지만, 경쟁도 심화되기 때문에 고도의 전문지식 습득 및 서비스정신, 일에 대한 정열은 필수적이다.

시험일정 등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국가자격증 #국가기술자격 #국가기술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 #기능사 #기능사자격증 #기능장 #기능장자격증 #기사 #기사자격증 #기술사 #기술사자격증 #국가자격증종류 #국가자격증조회 #국가자격증추천 #국가자격증시험 #국가자격증일정 #화학분석기능사자격증 #화학분석기능사취업 #화학분석기능사전망 #화학분석기능사연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