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사선비파괴검사는 그 적용대상이 광범위하지만 작업 중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비파괴검사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관련장비를 안전하게 조작·취급할 수 있는 기능인력 양성이 요구되어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

방사선을 이용한 비파괴검사에 대해 주로 현장실무를 담당하며 적절한 도구를 이용하여 겸사 방법 및 절차에 따라 실제적인 비파괴검사 업무를 수행한다.

방사선 비파괴 검사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는 비파괴 전문 용역 업체, 공인 검사 기관, 전 산업체의 안전관리 및 품질관리 부서, 조선, 항공, 석유화학, 철강 등의 제조업체, 건설회사의 안전진단 부서 같은 곳에 취업 할 수 있다.
산업설비 및 건축물, 기계장치 등의 안전성 검사가 필요한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검사 대상물이 다양해지고, 검사 방법이 복잡해짐에 따라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검사 방법이 자동화, 로봇화되고 있어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
필기시험
|
① 방사선투과시험법
② 방사선안전관리 관련규격 및 컴퓨터활용 ③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 일반 |
전 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
실기시험
|
방사선투과작업
|
작업형(30분~1시간)
|
합격 기준 : 필기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 필기시험 -
연도
|
필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11
|
1,267
|
275
|
21.7%
|
2010
|
1,184
|
347
|
29.3%
|
2009
|
1,643
|
679
|
41.3%
|
2008
|
1,334
|
562
|
42.1%
|
2007
|
1,138
|
307
|
27.0%
|
- 실기시험 -
연도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11
|
501
|
347
|
69.3%
|
2010
|
730
|
466
|
63.8%
|
2009
|
766
|
432
|
56.4%
|
2008
|
787
|
575
|
73.1%
|
2007
|
522
|
399
|
76.4%
|

- 취업
전문 비파괴검사업체, 비파괴검사전문용역업체, 공인검사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자체 검사시설을 갖춘 조선소, 건설, 제조, 가공, 운송, 에너지 및 기타 회사의 안전부서에 진출할 수 있다.
철강업체, 중공업 및 선박제작업체, 건설회사 등에 진출할 수 있다.
정유회사, 유류저장시설 시공업체, 각종 제조회사의 품질보증관련 부서로 진출이 가능하다.
가스용기제작업체, 보일러제조회사, 자동차산업분야, 항공우주산업분야의 비파괴검사부서에 진출할 수 있다.
- 우대
방사선비파괴 분야에서는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고 있다.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공업직렬의 금속, 야금 직류에서 3% 가산점을 준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 자격부여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계관리법에 의한 품질검사전문기관 특수분야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전문검사기관 지정 기술인력,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활동할 수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지정검사기관의 검사자로 고용될 수도 있고, 자격증을 소지하고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에 관한 실무를 2년 이상 한 사람은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 일반면허에 응시할 수 있다.
원자력법에 의하면 방사성동위원소 등을 사용하는 비파괴검사업체의 경우 비파괴검사기능사를 2인 이상 고용해야 한다.

방사선 비파괴 검사 기능사의 연봉은 기업의 규모, 근무 지역, 경력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신입사원의 경우, 평균적으로 2,500~3,000만원 정도의 연봉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력이 쌓일수록 연봉이 상승하며, 5년 이상의 경력자의 경우 4,000만원 이상의 연봉을 받는 경우도 있다.
비파괴 검사 분야는 안전성 검사가 필요한 분야가 확대되고 있어,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업의 규모와 근무 지역에 따라 연봉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방사선 비파괴 검사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도 지속적인 자기 계발과 경력 관리가 필요다.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비파괴검사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면허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기술사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시험 정보등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국가자격증 #국가기술자격 #국가기술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 #기능사 #기능사자격증 #기능장 #기능장자격증 #기사 #기사자격증 #기술사 #기술사자격증 #국가자격증종류 #국가자격증조회 #국가자격증추천 #국가자격증시험 #국가자격증일정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자격증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취업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전망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연봉
'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 > 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석가공기능사 취업 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18 |
---|---|
버섯종균기능사 취업 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17 |
반도체설비보전기능사 취업 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17 |
목재가공기능사 취업 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17 |
목공예기능사 취업 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