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은 우리 생활에 귀중한 목재를 제공헤 줄 뿐만 아니라 산림의 저수능력에 의한 수원 함양, 토사유출 및 붕괴방지에 의한 국토보존, 산업화 및 공업화로 야기 되는 대기오염의 정화, 레크레이션 장소의 제공 등 인간생활을 풍요롭게 해주고 있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사회가 고도화됨에 따라 산림육성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임야를 관리하게 함으로써 산림의 종합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자격제도 제정.

산림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조림, 육림, 임업기계사용, 목재수확, 임도설치 등의 산림 생산에 관한 작업관리 및 이에 관련되는 업무를 수행.

지방산림관서의 공무원, 작업단 등 공직과 임업회사 등에 진출할 수 있다.
산림법에 따라 임업지도원 자격을 취득하여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조합에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앞으로 산림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산지농업, 사냥, 산림휴양 등에 종합적인 산림 경영기법이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며, 임도시설의 확충되고 육림, 벌체 등의 기계화가 촉진됨에 따라 기술자의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응시자수와 합격자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
필기시험
|
① 조림 및 육림기술
② 산림보호 ③ 임업기계일반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시험
|
산림작업
|
작업형(3시간 정도)
|
합격 기준 : 필기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 필기시험 -
연도
|
응시
|
합격
|
합격률(%)
|
2023
|
5,118
|
2,842
|
55.5%
|
2022
|
4,921
|
2,770
|
56.3%
|
2021
|
5,290
|
2,926
|
55.3%
|
2020
|
3,768
|
1,970
|
52.3%
|
2019
|
3,693
|
1,773
|
48%
|
- 실기시험 -
연도
|
응시
|
합격
|
합격률(%)
|
2023
|
2,995
|
2,320
|
77.5%
|
2022
|
2,982
|
2,325
|
78%
|
2021
|
3,129
|
2,294
|
73.3%
|
2020
|
2,054
|
1,595
|
77.7%
|
2019
|
1,962
|
1,417
|
72.2%
|

- 취업
임업회사, 휴양시설 등 임업관련기관이나 산림경영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임업연구원, 각 시, 도 산림부서, 산림청 등으로도 취업 가능하다.
산림법에 따라 임업지도원 자격을 취득하여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조합에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우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농업직렬의 농화학, 식물검역 직류와 임업직렬과 환경직렬의 전 직류에서 3% 가산점을 준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 자격부여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산림청장은 임업분야 기능인의 취업알선과 고용안정을 위하여 임업분야 기능인에게 영림단을 조직하게 하여 간벌 사업, 산림 병해충 방제사업 등을 도급사업으로 하게 할 수 있는데, 산림기능사 이상의 자격증 소지자는 영림단 구성을 위한 필수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2022년 기준 산림기능사 종사자의 평균 연봉으로, 개인의 경력, 근무처, 근무 형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산림기능사 연봉은 다음과 같다.
하위(25%) 2,800만원
평균(50%) 3,500만원
상위(25%) 4,500만원


산림기능사 : 산림기능사 시험은 산림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 기사 · 기술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면 기술사자격에 응시할 수 있다.
산림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산림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림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고도의 전문지식 습득 및 서비스정신, 일에 대한 정열은 필수적이다.
산림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 · 면허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기술사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시험 정보등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국가자격증 #국가기술자격 #국가기술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 #기능사 #기능사자격증 #기능장 #기능장자격증 #기사 #기사자격증 #기술사 #기술사자격증 #국가자격증종류 #국가자격증조회 #국가자격증추천 #국가자격증시험 #국가자격증일정 #산림기능사자격증 #산림기능사취업 #산림기능사전망 #산림기능사연봉
'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 > 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비보전기능사 취업 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19 |
---|---|
선체건조기능사 취업 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19 |
사진기능사 취업 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19 |
복어조리기능사 취업 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18 |
보석감정사 취업 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0) | 2024.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