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산 관리에서 안전을 배제하고는 생산성 향상이 불가능하다는 인식 아래, 산업 현장의 근로자를 보호하고, 근로자들이 안심하고 생산성 향상에 집중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전문 지식을 갖춘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자격 제도를 마련하였습니다.

안전 관리가 필요한 사업장에서는 사업장의 규모에 따라 최소 1~2명의 안전 관리자를 필수적으로 배치해야 합니다.
안전 관리자로 선임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산업 안전 관련 학과를 졸업하거나, 비전공자의 경우 산업안전기사나 산업안전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제조업 및 서비스업을 포함한 각 산업 현장에서 근무하며, 산업 재해 예방 계획 수립, 작업 환경 점검 및 개선, 유해 및 위험 방지, 사고 사례 분석 및 개선, 근로자 안전 교육 및 훈련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진로]
- 직무 내용
산업안전산업기사는 주로 산업 현장에서 안전 관리, 위험 평가 및 안전 교육과 훈련을 담당합니다.
건설, 제조, 화학, 전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동이 가능하며, 이 분야들에서 특히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 취업 분야
기계, 금속, 전기, 화학, 목재 등의 제조업체, 안전관리 대행업체, 산업안전관리 정부기관, 한국산업안전공단 등에서 진출할 기회가 있습니다.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 안전 컨설팅 회사 등에서 근무할 수 있으며, 경력이 쌓이면 안전 관리자, 안전 기술자, 안전 컨설턴트 등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전망]
- 산업 안전의 중요성
선진국의 척도가 되는 안전 수준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는 아직 재해율이 후진국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사회적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안전 인증 대상을 프레스, 용접기 등의 기계·기구뿐만 아니라 이들의 방호장치에까지 확대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을 개정하였고, 경제 회복 국면과 안전보건조직의 축소가 겹치면서 재해 증가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특히 제조업에서는 이미 올해 초부터 전년도 재해율을 넘어서고 있어, 정부는 재해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자격증을 가진 인력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산업 재해 예방과 안전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산업안전산업기사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전망이며 특히 안전 관련 법규가 강화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 고용 전망
2024년까지 산업안전 분야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대기업과 공공기관의 채용이 활발할 것으로 보입니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전공자
|
순수 경력자
|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 대졸(졸업예정자)
•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예정)자 |
실무경력 2년(동일, 유사 분야)
|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보건관리학과, 환경보건학과, 산업보건학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섬유 · 의복, 전기 · 전자, 정보통신, 식품가공, 인쇄 · 목재 · 가구 · 공예, 농림어업, 환경 · 에너지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종목명
|
23.12.31까지
|
24.1.1부터
|
검정방법
|
필기시험
|
① 산업안전관리론
②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③ 기계위험방지기술 ④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⑤ 건설안전기술 |
①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교육
② 인간공학 및 위험성 평가 · 관리 ③ 기계 · 기구 및 설비 안전 관리 ④ 전기 및 화학설비 안전 관리 ⑤ 건설공사 안전 관리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산업안전 실무
|
산업안전 실무
|
복합형(2시간 정도)
|
합격 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구분
|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2024년 정기 기사 1회
|
2024.01.23 ~ 2024.01.26
[빈자리접수 : 2024.02.09~2024.02.10] |
2024.02.15
~ 2024.03.07 |
2024.03.13
|
2024.03.26
~ 2024.03.29 빈자리접수 : 2024.04.21~ 2024.04.22 |
2024.04.27~2024.05.17
|
2024.06.18
|
2024년 정기 기사 2회
|
2024.04.16 ~ 2024.04.19
[빈자리접수 : 2024.05.03~2024.05.04] |
2024.05.09
~ 2024.05.28 |
2024.06.05
|
2024.06.25
~ 2024.06.28 빈자리접수 : 2024.07.22~ 2024.07.23 |
2024.07.28~2024.08.14
|
2024.09.10
|
2024년 정기 기사 3회
|
2024.06.18 ~ 2024.06.21
[빈자리접수 : 2024.06.29~2024.06.30] |
2024.07.05
~ 2024.07.27 |
2024.08.07
|
2024.09.10
~ 2024.09.13 |
2024.10.19~2024.11.08
|
2024.12.11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34600원

아래를 클릭하셔서 좀 더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3
|
38,901
|
17,308
|
44.5%
|
22,925
|
10,746
|
46.9%
|
2022
|
29,934
|
13,490
|
45.1%
|
17,989
|
7,886
|
43.8%
|
2021
|
25,952
|
12,497
|
48.2%
|
17,961
|
7,728
|
43%
|
2020
|
22,849
|
11,731
|
51.3%
|
15,996
|
5,473
|
34.2%
|
2019
|
24,237
|
11,470
|
47.3%
|
13,559
|
6,485
|
47.8%
|
2018
|
19,298
|
8,596
|
44.5%
|
9,305
|
4,547
|
48.9%
|
2017
|
17,042
|
5,932
|
34.8%
|
7,567
|
3,620
|
47.8%
|
2016
|
15,575
|
4,688
|
30.1%
|
6,061
|
2,675
|
44.1%
|
2015
|
14,102
|
4,238
|
30.1%
|
5,435
|
2,811
|
51.7%
|

- 취업 분야
화학, 석유, 석탄공업, 목재 및 가공공업, 플라스틱, 금속공업, 기계 및 장비제조업, 건설업, 비금속, 광물 제조업 등의 제조업체, 안전관리 대행업체, 산업안전관리 정부기관, 한국산업안전공단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전문대학이나 대학에서 기계, 전기, 전자, 건축, 토목, 화학공학, 소방 및 산업안전공학 등을 전공하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합니다.
근로자와 국민의 사업장 재해 사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안전 관련 법령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향후 관련 전문인력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우대 사항
사업의 종류와 규모에 따라 일정 수 이상의 안전관리자를 채용해야 하는 의무가 있으며, 산업안전 분야에서는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여 채용하고 있습니다.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산점 제도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이 주어집니다.
단, 가산점은 각 과목에서 40% 이상 득점한 사람에게만 주어지며, 필기시험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합니다.
공업직렬에서는 채용 계급이 8, 9급, 기능직 8급 이하일 경우 5%, 6, 7급, 기능직 7급 이상일 경우 3%의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 자격 부여
자격을 취득한 사람은 사업의 종류와 사업장 규모에 따라 안전관리자로 인정되며, 안전 진단 기관의 인력으로도 인정됩니다(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또한, 자격 취득 및 경력에 따라 엔지니어링 활동 주체의 신고 기술인력 요건(엔지니어링 초급~고급기술자)으로 인정됩니다(엔지니어링 산업진흥법 시행령).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으로 활동이 가능합니다.


- 신입 연봉
대기업에서 신입사원은 보통 4,000만 원에서 5,000만 원 사이의 연봉을 받습니다.
중견기업은 약 4,000만 원, 중소기업은 대략 3,000만 원 정도의 연봉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 경력에 따른 연봉
경력이 쌓이면 연봉도 증가하는데, 5년 이상 경력자의 경우 연봉이 6,000만 원을 넘어설 수 있습니다.
특히 안전 관리 분야에서 전문성과 경험이 많을수록 더 높은 연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기업 규모
대기업에서 근무하면 연봉이 더 높고, 중소기업보다 복지 혜택도 좋습니다.
- 지역
대도시에서 근무하면 생활비가 높아 연봉이 더 높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자격증 및 추가 교육
산업안전산업기사 자격증뿐만 아니라 관련 자격증이나 추가 교육을 이수하면 연봉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산업안전기사 : 산업안전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안전기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안전관리자 : 안전관리자란 사업장의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해 보좌, 지도, 조언을 하는 책임자를 말한다. 안전관리가 필요한 사업장에서는 사업장의 규모에 따라 1~2명 이상의 안전관리자를 반드시 배치해야 한다. 안전관리자가 되려면 관련기술자격(산업안전기사 or 산업안전산업기사 등)을 취득한 자거나 산업안전 관련학과를 졸업한 자이어야 한다.

'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 > 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유디자인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0) | 2024.08.21 |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0) | 2024.08.21 |
산림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0) | 2024.08.21 |
사출금형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0) | 2024.08.21 |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0) | 202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