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무 중 취급하는 원료, 부산물, 또는 제품 자체의 독성과 작업장의 소음, 먼지, 고열, 가스 등으로 인해 난청, 진폐증, 만성 중독증 등의 직업병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 증가함에 따라, 근로자의 인권과 생존권을 보호하기 위해 작업장 환경 측정 및 개선에 관한 전문 지식을 갖춘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자격 제도를 마련하였습니다.

작업장과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 및 증진하기 위해,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기타 유해 요인을 포함한 환경 측정, 시료 분석 및 평가를 통해 작업 및 실내 환경에서 발생하는 유해 요인의 노출 정도를 분석하고 평가합니다.
이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고, 산업 환기 점검, 보호구 관리, 공정별 유해 인자 파악 및 유해 물질 관리를 수행합니다.
또한, 보건 교육 훈련과 근로자의 보건 관리를 통해 환경 시설에 대한 보건 진단 및 개인의 건강 진단 관리, 건강 증진, 개인 위생 관리 업무를 수행합니다.

[진로]
- 직무 내용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는 작업 환경의 유해 요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합니다.
화학물질, 물리적, 생물학적 요인을 평가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지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취업 분야
환경 및 보건 관련 공무원, 산업체의 보건관리자, 작업환경 측정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동 가능하며, 특히 제조업, 건설업, 화학업체 등의 수요가 많습니다.
공공기관이나 연구소에서도 근무 기회가 있습니다.
[전망]
- 산업 성장
산업위생 관리 분야는 최근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안전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2023년을 기준으로 산업위생관리 분야의 고용률은 28.3%에 이르며,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 자격증의 중요성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자격증은 해당 분야에서 전문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자격이며, 취업에 있어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자격증 소지자는 법적으로 산업 안전 및 건강 관리자로 임명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됩니다.
- 환경 안전 관리의 중요성
산업위생관리와 밀접하게 연관된 환경 안전 관리 분야는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환경 안전 관리자는 기업의 환경 정책을 수립하고, 법규 준수를 보장하며,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한 전략을 개발합니다.
이는 산업위생관리와 함께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고용 전망
과거에는 직업병 발생 등의 사회문제가 발생한 후에야 대책을 마련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이제는 사전에 근본적인 관리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국제적인 산업안전보건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 인증 제도를 정착시키고, 질병 발생 원인을 조사할 수 있는 역학조사 근거를 마련한 「산업안전보건법」 제6차 개정을 실시하였습니다.
산업 인구의 중·고령화,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 증가 등으로 인한 작업 관련성 질병이 증가하고 있으며, 유해 화학물질 사용 증가로 인한 신종 직업병 예방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자격 취득자의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사업주에 대한 안전·보건 관련 행정 규제의 폐지나 완화로 인해 공공부문보다는 민간부문에서의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입니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졸업자
|
비관련학과 졸업자
|
순수 경력자
|
비고
|
· 동일(유사)분야 산업 기사
· 기능사 + 1년 · 동일종목외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폐지
|
· 2년(동일, 유사 분야)
|
※ 비관련학과 관련 응시자격 → 2013.1.1부터 폐지
|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보건위생과, 환경보건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섬유 · 의복, 전기 · 전자, 정보통신, 식품가공, 인쇄 · 목재 · 가구 · 공예, 농림어업, 환경 · 에너지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
필기시험
|
① 산업위생학개론
②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③ 작업환경관리 ④ 산업환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작업환경관리 실무
|
필답형(2시간 30분)
|
합격 기준
필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구분
|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2024년 정기 기사 1회
|
2024.01.23 ~ 2024.01.26
[빈자리접수 : 2024.02.09~2024.02.10] |
2024.02.15
~ 2024.03.07 |
2024.03.13
|
2024.03.26
~ 2024.03.29 빈자리접수 : 2024.04.21~ 2024.04.22 |
2024.04.27~2024.05.17
|
2024.06.18
|
2024년 정기 기사 2회
|
2024.04.16 ~ 2024.04.19
[빈자리접수 : 2024.05.03~2024.05.04] |
2024.05.09
~ 2024.05.28 |
2024.06.05
|
2024.06.25
~ 2024.06.28 빈자리접수 : 2024.07.22~ 2024.07.23 |
2024.07.28~2024.08.14
|
2024.09.10
|
2024년 정기 기사 3회
|
2024.06.18 ~ 2024.06.21
[빈자리접수 : 2024.06.29~2024.06.30] |
2024.07.05
~ 2024.07.27 |
2024.08.07
|
2024.09.10
~ 2024.09.13 |
2024.10.19~2024.11.08
|
2024.12.11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20800원

아래를 클릭하셔서 좀 더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3
|
2,445
|
868
|
35.5%
|
930
|
571
|
61.4%
|
2022
|
2,168
|
732
|
33.8%
|
902
|
555
|
61.5%
|
2021
|
2,032
|
743
|
36.6%
|
890
|
514
|
57.8%
|
2020
|
1,655
|
736
|
44.5%
|
1,010
|
594
|
58.8%
|
2019
|
1,862
|
775
|
41.6%
|
1,288
|
466
|
36.2%
|
2018
|
1,826
|
763
|
41.8%
|
1,308
|
518
|
39.6%
|
2017
|
1,837
|
805
|
43.8%
|
1,289
|
355
|
27.5%
|
2016
|
1,666
|
688
|
41.3%
|
1,029
|
265
|
25.8%
|
2015
|
1,485
|
519
|
34.9%
|
855
|
229
|
26.8%
|

- 취업 분야
환경 및 보건 관련 공무원, 각 산업체의 보건 관리자, 작업 환경 측정 업체 등이 있습니다.
주로 기계, 금속, 전기, 화학, 목재, 건설과 같은 제조업체에 진출합니다. 특히 화학, 석유, 석탄, 목재 및 가공, 플라스틱, 금속, 기계 및 장비 제조, 건설, 비금속, 광물 제조 등 산업재해 위험이 높은 분야에서 활동이 가능합니다.
안전 관리, 유해 및 위험 작업 교육 기관, 재해 예방 전문 지도 기관, 안전 관리 진단 기관 등에도 취업할 수 있습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한사업안전협회 등 관련 기관으로의 진출도 가능합니다.
- 우대 사항
사업의 종류와 규모에 따라 일정 수 이상의 보건 관리자 채용이 의무화되어 있으며, 보건 관리 분야 인력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합니다.
국가 기술 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 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 보장 등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산점 제도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가산점을 부여합니다.
농업직렬의 농화학 직류, 보건직렬의 보건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 환경, 폐기물 직류에서 채용 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일 경우 5%, 6·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 3%의 가산점이 주어집니다.
단,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0%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해 적용됩니다.
- 자격 부여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보건 관리자 자격이 주어지며, 보건 관리 대행 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 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 신입 연봉
신입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의 연봉은 일반적으로 4,000만원 이상입니다.
이는 다른 직군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입니다.
- 경력 연봉
경력이 쌓이면 연봉이 증가하며, 중견 및 중소기업에서는 3,500만원에서 5,000만원 사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기업에서는 이보다 더 높은 연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상위 직급 연봉
경력이 10년 이상인 경우 연봉은 6,000만원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고, 관리직으로 승진하면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산업 분야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가 근무하는 산업 분야에 따라 연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조업이나 화학업체에서 근무할 경우 연봉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자격증 및 교육
추가 자격증이나 교육 이수는 연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산업위생관리기술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면 더 높은 연봉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업위생관리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산업위생관리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 · 면허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기술사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 > 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유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0) | 2024.08.21 |
---|---|
섬유디자인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0) | 2024.08.21 |
산업안전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0) | 2024.08.21 |
산림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0) | 2024.08.21 |
사출금형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0) | 2024.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