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 응시자격, 합격률, 취업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by 열혈비광이 2024. 7. 27.
반응형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컴퓨터에 관한 초급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

 

정보처리기능사는 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영역에서 정보처리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컴퓨터 시스템의 운용 및 개발 업무를 수행한다.

 

기업체 전산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SI(system integrated)업체, 정부기관, 언론기관, 교육 및 연구기관, 금융기관, 보험사, 병원 등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 및 운용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처리를 시행하는 업체에 취업할 수 있다.

정보통신부의 별정우체국 사무장, 사무주임, 사무보조 등 사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3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는 자는 측량분야 수치지도제작업의 정보처리 담당자로 진출이 가능하다.

정보화사회로 이행함에 따라 지식과 정보의 양이 증대되어 작업량과 업무량이 급속하게 증가했다.

또한 각종 업무의 전산화 요구가 더욱 증대되어 사회 전문분야로 컴퓨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컴퓨터산업은 급속도로 확대되었다.

컴퓨터산업의 확대는 곧 이 분야의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필기시험
① 전자계산기일반
② 패키지활용
③ PC운영체제
④ 정보통신일반
객관식 4지 택일형
실기시험
정보처리 실무
필답형(2시간)

합격 기준: 필기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11,197
7,028
62.8%
10,971
2,932
26.7%
2022
11,255
7,084
62.9%
10,436
1,861
17.8%
2021
12,574
7,848
62.4%
11,264
4,429
39.3%
2020
10,119
6,084
60.1%
9,236
1,788
19.4%
2019
21,868
13,031
59.6%
16,475
9,488
57.6%
2018
23,594
13,474
57.1%
17,726
9,028
50.9%
2017
30,014
15,473
51.6%
20,982
9,961
47.5%
2016
42,549
21,466
50.5%
36,017
17,082
47.4%
2015
36,412
18,325
50.3%
33,854
14,131
41.7%

 

 

- 취업

기업체 전산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SI(system integrated)업체, 정부기관, 언론기관, 교육 및 연구기관, 금융기관, 보험사, 병원 등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 및 운용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처리를 시행하는 업체에 취업할 수 있다.

정보통신부의 별정우체국 사무장, 사무주임, 사무보조 등 사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3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는 자는 측량분야 수치지도제작업의 정보처리 담당자로 진출이 가능하다.

- 가산점

2017년부터 국가직 공무원 채용시험의 경우 정보화 가산점 일괄 폐지로 가산점이 폐지되었으나 서울시와 지방직 공무원 8 · 9급 채용시험에서는 가산점을 인정하고 있다(각 과목별 만점의 0.5%).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일반기술병(일반직종) 지원의 경우, 서류전형시 자격/면허 가산점을 받는다.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취업 시, 기업체, 전산실,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정부기관, 언론기관, 교육 및 연구기관, 금융기관, 병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취업이 가능하며, 정보통신 관련 업체, 정보처리 관련 업체, 시스템 통합 업체 등으로도 취업할 수 있다.

근무처, 경력, 근무 형태 등에 따라 연봉은 달라질 수 있다.

초임 연봉은 대략 2,400 - 3,000만 원 정도로 알려져 있다.

경력이 쌓이고, 정보처리 분야의 전문성을 인정받게 되면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다.

시험일정 등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국가자격증 #국가기술자격 #국가기술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 #기능사 #기능사자격증 #기능장 #기능장자격증 #기사 #기사자격증 #기술사 #기술사자격증 #국가자격증종류 #국가자격증조회 #국가자격증추천 #국가자격증시험 #국가자격증일정 #정보처리기능사자격증 #정보처리기능사취업 #정보처리기능사전망 #정보처리기능사연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