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기능사

제강기능사 응시자격, 합격률, 취업전망, 진로, 평균연봉은?

by 열혈비광이 2024. 7. 27.
반응형

 

 

제강은 선철 등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전로, 전기로, 연속주조 등을 통해 강을 만드는 공정이다.

제강법에 대한 기초이론지식과 숙련기능을 소지한 인력을 양성하여 생산성을 높이고자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

 

고철 및 용선을 제강로(전로, 전기로)등에 장입한 후 성분조정 금속을 첨가하여 탈탄, 탈인, 탈산, 탈황반응에 의해 용해, 산화, 환원을 하고 조괴 및 연속주조 공정을 거쳐 양질의 강과 특수강 등을 제조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제철 및 제강업체, 그 외 제강로를 취급하는 분야,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산업분야, 강 제조 및 조괴제조 업무를 담당하는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철강산업은 최신설비에 의한 높은 설비효율, 안정된 조업기술, 숙련된 기술인력을 바탕으로 가격 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제강 공정에서의 숙련기능소지자로 철강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고급강의 생산에 많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필기시험
금속재료, 금속제도, 전로제강, 전기로제강, 연속주조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실기시험
제강실무
필답형(1시간 30분)

합격 기준: 필기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1,170
548
46.8%
574
192
33.4%
2022
975
441
45.2%
488
148
30.3%
2021
1,097
557
50.8%
592
245
41.4%
2020
1,518
724
47.7%
796
108
13.6%
2019
2,543
1,419
55.8%
1,598
939
58.8%
2018
2,252
1,215
54%
1,420
834
58.7%
2017
1,622
845
52.1%
1,001
588
58.7%
2016
2,078
1,060
51%
1,158
697
60.2%
2015
2,608
1,306
50.1%
1,600
884
55.3%

 

 

- 취업

제철 및 제강업체, 압연 · 압출 · 제관업체, 금속조립제품제조업체, 금형업체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제강로를 취급하는 분야,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산업분야, 강제조 및 조괴제조업무를 담당하는 업체로 취업할 수 있다.

- 우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공업직렬의 금속, 야금 직류에서 3% 가산점을 준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 자격부여

제강기능사 자격을 취득하면,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지정검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강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취업 시, 기업체, 철강 제조 및 가공 분야에서 제강 및 주조 작업을 수행하는 전문 인력으로 근무할 수 있다.

근무처, 경력, 근무 형태 등에 따라 연봉은 달라질 수 있다.

초임 제강 기능사의 연봉은 평균적으로 2,500만 원에서 3,500만 원 사이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워크넷 직업정보에 따르면, 제철소에 근무하는 제강 기능사의 평균 연봉(중위값)은 6,000만 원으로 확인된다.

경력이 쌓이고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연봉도 상승한다.

 

 

제강기능사 : 제강기능사 시험은 제강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기능장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제강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능장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제강기능장 : 기능장은 최고급 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기능장은 오랜 실무경력을 바탕으로 작업 현장에서의 공정전반을 관리함으로써 최고 기술자로서 대우를 받는다.

시험일정 등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www.q-net.or.kr

#국가자격증 #국가기술자격 #국가기술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 #기능사 #기능사자격증 #기능장 #기능장자격증 #기사 #기사자격증 #기술사 #기술사자격증 #국가자격증종류 #국가자격증조회 #국가자격증추천 #국가자격증시험 #국가자격증일정 #제강기능사자격증 #제강기능사취업 #제강기능사전망 #제강기능사연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