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산업기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by 열혈비광이 2024. 10. 6.
반응형

 

1. 에너지관리산업기사란?

2. 수행업무

3. 진로 및 전망

4. 응시 자격

5. 시험 일정

6. 합격률

7. 활용 정보

8. 평균 연봉

9. 자격증 관계도

 

1. 에너지관리산업기사란?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자격제도는 빌딩, 아파트, 공장, 일반 주택 등에서 냉난방기기의 사용과 관련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관련 설비의 유지 및 보수 업무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열에너지는 가정용 연료부터 산업용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열 사용처에서 연료와 열원으로 사용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연료 사용 기구의 품질을 향상시켜 연료 자원을 보전하고 기업의 합리화에 기여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이 자격 제도가 설립되었습니다.

2014년부터 직무 분야가 유사한 '보일러산업기사'와 '에너지관리산업기사'는 '에너지관리산업기사'로 통합되었습니다.

2. 수행업무

산업기계, 공장, 사무실, 아파트 등에 설치된 보일러 및 관련 장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지도하고, 안전 관리를 위한 점검 및 보수 작업을 수행합니다.

유류, 가스, 연탄을 사용하는 다양한 보일러 및 열 사용 기자재의 제작과 설치 시, 효율적인 열 설비를 위한 시공을 감독하며, 보일러의 작동 상태와 배관 상태를 점검합니다.

3. 진로 및 전망

- 진로

열설비를 다루는 모든 기관, 사무용 빌딩, 아파트, 호텔, 생산공장 등에서 보일러 검사 및 품질관리부서, 소형공장부터 대형공장까지의 보일러 담당부서, 보일러 생산업체, 그리고 보일러 설비업체 등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 전망

열관리기사의 고용은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약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력 수요는 주로 가을과 겨울에 집중되며, 도시가스 및 천연가스 사용 증가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감소할 수 있지만,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과 절약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에너지 낭비가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 비해 높기 때문에 열관리기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건설 경기 회복에 따른 열설비의 설치 증가로 고용이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보일러 구조의 복잡화, 대규모화, 연료의 다양화, 자동제어의 변화로 인해 관련 자격증의 추가 취득이 업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4. 응시 자격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기술자격 소지자
관련학과 전공자
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대졸(졸업예정자)
·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예정)자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기계과, 기계설계과, 건축설비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중 토목, 기계, 재료, 전기 ∙ 전자 중 전기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변경 전(`22.12.31까지)
변경 후(`23.1.1부터)
필기시험
① 열역학 및 연소관리
② 계측 및 에너지진단
③ 열설비 구조 및 시공
④ 열설비취급 및 안전관리
① 열 및 연소설비
② 열설비설치
③ 열설비운전
④ 열설비안전관리 및 검사기준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시험
에너지관리취급 실무
열설비취급 실무
복합형[필답형(1시간 30분, 60점) + 작업형(종합응용배관작업 3시간 정도, 40점)

합격 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이 면제됩니다.

 

5. 시험 일정

구분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정기 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빈자리접수 : 2024.02.09~2024.02.10]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빈자리접수 :
2024.04.21~
2024.04.22
2024.04.27~2024.05.17
2024.06.18
2024년 정기 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빈자리접수 : 2024.05.03~2024.05.04]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빈자리접수 :
2024.07.22~
2024.07.23
2024.07.28~2024.08.14
2024.09.10
2024년 정기 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빈자리접수 : 2024.06.29~2024.06.30]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빈자리접수 :
2024.10.14~
2024.10.14
2024.10.19~2024.11.08
2024.12.11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121200

6. 합격률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4,226
1,306
30.9%
2,126
683
32.1%
2022
4,313
1,371
31.8%
2,142
892
41.6%
2021
3,349
1,163
34.7%
1,373
540
39.3%
2020
1,685
540
32%
755
357
47.3%
2019
1,582
483
30.5%
644
269
41.8%
2018
1,190
357
30%
531
228
42.9%
2017
1,187
286
24.1%
487
188
38.6%
2016
1,322
379
28.7%
504
176
34.9%
2015
1,173
268
22.8%
579
197
34%

7. 활용정보

- 취업 분야

열설비를 취급하는 모든 기관, 사무용 빌딩, 아파트, 호텔, 생산공장 등과 보일러 검사 및 품질관리부서, 보일러 담당부서, 보일러 생산업체, 보일러 설비업체 등에서 진출이 가능합니다.

- 우대사항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의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산점

에너지관리산업기사는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원자력, 물리 직류와 환경직렬의 폐기물 직류에서 채용 시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3%의 가산점을 받습니다. 단, 가산 특전은 필기시험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을 가진, 각 과목에서 4할 이상 득점한 자에게만 적용됩니다.

8. 평균 연봉

- 신입 연봉

일반적으로 3,000만 원에서 4,000만 원 사이로 시작합니다.

- 경력 연봉

경력이 늘어나면 연봉은 4,500만 원에서 6,000만 원으로 증가할 수 있고, 대기업의 경우 6,000만 원에서 8,000만 원 이상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 특별한 경우

특정 기업이나 고위직으로 승진하게 되면 연봉이 1억 원을 넘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9. 자격증 관계도

- 에너지관리기능사

에너지관리기능사 시험은 보일러 기초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산업기사 및 기능장 시험 응시에 유용합니다. 기능사 자격을 획득한 후 같은 직무 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 경험이 있는 사람은 산업기사 시험 응시 자격을 얻게 되며, 7년 이상 경험이 있는 경우 기능장 시험 응시 자격이 부여됩니다.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더 높은 수준의 숙련 기능과 기초 이론 지식을 갖추고 기술 분야에서 일하는 자격입니다.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같은 직무 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 경험이 있는 사람은 기사 시험 응시 자격을 얻게 됩니다.

- 에너지관리기사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더 높은 수준의 숙련 기능과 기초 이론 지식을 갖추고 기술 분야에서 일하는 자격입니다.

- 에너지관리기능장

기능장은 최상위 수준의 숙련 기능을 갖추고 산업 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 훈련, 경영 계층과 생산 계층의 유기적 연계 등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