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용접산업기사란?
2. 수행업무
3. 진로 및 전망
4. 응시 자격
5. 시험 일정
6. 합격률
7. 활용 정보
8. 평균 연봉
9. 자격증 관계도
1. 용접산업기사란?
용접산업기사는 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한, 응시 자격을 갖춘 사람들에게 부여되는 자격입니다.
용접 기술은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건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제품 및 설비의 제조, 조립, 설치, 보수에 널리 적용됩니다. 이러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용접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용접산업기사 자격이 마련되었습니다.
2. 수행업무
전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주로 제품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제품이나 구조물을 완성합니다.
또한, 용접 설계와 도면 작성, 비용 계산 및 재료 준비 등의 업무도 맡습니다.
3. 진로 및 전망
- 진로
용접산업기사는 주로 제조업, 조선업, 건설업, 기계 및 자동차 산업 등에서 활동합니다.
이들은 구조물, 기계 부품, 배관 등을 용접하여 조립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용접 작업 외에도 품질 검사, 안전 관리, 기술 지도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용접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전망
용접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기술 개발을 통한 고용 창출 및 고속 용접 기법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술 인력의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반면, 자동차 생산 공장 등 자동 용접이 가능한 분야에서는 고용 감소가 예상됩니다.
반면, 조선이나 건설업 등 여전히 수작업이 필요한 분야는 해당 산업의 성장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향후 이들 산업의 성장이 기대됨에 따라 이 분야에서의 고용은 점차 증가할 전망입니다.
한편, 국내 대기업의 용접 인력 중 자격 보유율이 20%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기본적인 용접 이론과 실무 경험을 갖춘 자격 취득자의 향후 전망은 밝아 보입니다.
4. 응시 자격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전공자
|
순수 경력자
|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 대졸(졸업예정자)
· 전문대졸(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예정)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기계공학, 금속공학 등 관련학과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광업자원 중 채광, 기계, 화학, 전기 · 전자 중 전기, 안전관리, 환경 · 에너지 중 에너지 · 기상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
필기시험
|
① 용접야금 및 용접설비제도
② 용접구조설계 ③ 용접일반 및 안전관리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용접 실무
|
작업형(1시간 40분 정도)
|
합격 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이 면제됩니다.
5. 시험 일정
구분
|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2024년 정기 기사 1회
|
2024.01.23 ~ 2024.01.26
[빈자리접수 : 2024.02.09~2024.02.10] |
2024.02.15
~ 2024.03.07 |
2024.03.13
|
2024.03.26
~ 2024.03.29 빈자리접수 : 2024.04.21~ 2024.04.22 |
2024.04.27~2024.05.17
|
2024.05.29
|
2024년 정기 기사 2회
|
2024.04.16 ~ 2024.04.19
[빈자리접수 : 2024.05.03~2024.05.04] |
2024.05.09
~ 2024.05.28 |
2024.06.05
|
2024.06.25
~ 2024.06.28 빈자리접수 : 2024.07.22~ 2024.07.23 |
2024.07.28~2024.08.14
|
2024.08.28
|
2024년 정기 기사 3회
|
2024.06.18 ~ 2024.06.21
[빈자리접수 : 2024.06.29~2024.06.30] |
2024.07.05
~ 2024.07.27 |
2024.08.07
|
2024.09.10
~ 2024.09.13 빈자리접수 : 2024.10.14~ 2024.10.14 |
2024.10.19~2024.11.08
|
2024.11.20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수수료 : 필기 - 19400원 / 실기 -61900원
6. 합격률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3
|
2,112
|
1,288
|
61%
|
1,571
|
454
|
28.9%
|
2022
|
2,044
|
1,253
|
61.3%
|
1,558
|
505
|
32.4%
|
2021
|
2,033
|
1,293
|
63.6%
|
1,484
|
503
|
33.9%
|
2020
|
1,839
|
1,206
|
65.6%
|
1,564
|
584
|
37.3%
|
2019
|
1,998
|
1,300
|
65.1%
|
1,727
|
672
|
38.9%
|
2018
|
2,339
|
1,399
|
59.8%
|
1,918
|
743
|
38.7%
|
2017
|
2,652
|
1,795
|
67.7%
|
2,584
|
954
|
36.9%
|
2016
|
3,471
|
2,239
|
64.5%
|
2,956
|
968
|
32.7%
|
2015
|
4,869
|
2,756
|
56.6%
|
3,173
|
1,502
|
47.3%
|

7. 활용정보
- 취업 분야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건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진출이 가능합니다.
- 우대사항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보수, 승진, 전보, 신분 보장 등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산점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는 공업직렬의 일반기계, 농업기계 직류의 8 · 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에 5%, 6 · 7급,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에는 3%의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단, 가산점은 필기시험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을 가진, 각 과목에서 4할 이상 득점한 응시자에게만 적용됩니다.
8. 평균 연봉
- 평균 연봉
평균 연봉은 대략 3,200만 원에서 4,200만 원 사이로 나타납니다. 경력과 근무 산업에 따라 이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신입 연봉
신입 용접산업기사는 보통 2,700만 원에서 3,500만 원 사이의 연봉으로 시작합니다. 이는 회사의 규모와 위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경력에 따른 연봉 차이
경력이 늘어남에 따라 연봉도 상승하며, 5년 이상 경력자는 4,000만 원에서 5,000만 원 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전문 기술이나 자격증이 있다면 더 높은 연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산업 분야
조선, 건설,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용접산업기사에 대한 수요가 높아, 근무하는 산업 분야에 따라 연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지역
대도시와 지방 간에는 연봉 차이가 있으며, 대도시에서는 보통 더 높은 연봉을 받게 됩니다.
- 자격증 및 기술 수준
고급 용접 기술이나 추가 자격증을 가진 경우, 연봉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수 용접이나 로봇 용접 관련 자격증이 유리합니다.
9. 자격증 관계도

- 용접기능사 및 특수용접기능사
특수용접기능사 자격을 취득하고 동일 직무 분야에서 1년 이상 근무한 사람은 산업기사 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지며, 7년 이상 근무한 경우 기능장 시험 응시 자격이 부여됩니다.
- 용접산업기사
용접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고 동일 직무 분야에서 1년 이상 근무한 사람은 기사 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지며, 5년 이상 근무한 경우 기능장 시험 응시 자격이 부여됩니다.
- 용접기사
기사 자격을 취득하고 동일 직무 분야에서 4년 이상 근무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 용접기능장
기능장은 최상위 수준의 숙련 기능을 갖추고 산업 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 훈련, 경영 계층과 생산 계층의 유기적 연계 등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 용접기술사
기술사는 해당 기술 분야의 고도의 전문 지식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응용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지칭합니다.
'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 > 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물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7) | 2024.10.06 |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4) | 2024.10.06 |
어로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1) | 2024.10.06 |
양식조리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11) | 2024.10.06 |
실내건축산업기사 취업, 전망, 진로, 연봉,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이 궁금하시다면~ (5) | 2024.10.06 |